13개 신규 증권사 예비인가...내달 9일 결정

입력 2008-04-28 13: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감독당국에 증권사 신규 설립 신청서를 제출한 13개 증권사들에 대한 예비인가가 다음달 9일 금융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설립 신청서를 접수한 13개 증권사에 대한 예비인가를 위한 심사와 관련해 최근까지 서류 심사 등 기초 작업을 마치고 이번 주 대주주(출자자)와 최고경영자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해 최종 심사를 마무리 지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예비인가를 신청한 13개 증권사들 중 종합증권사 설립 신청을 낸 곳은 IBK투자증권(이하 신청인 기업은행), KTB투자증권(KTB네트워크),STX투자증권(STX팬오션),SC제일투자증권(SC제일은행) 등 4곳이다.

또한 위탁·자기매매업 면허를 신청한 곳은 토러스증권(손복조 전 대우증권 사장),LIG투자증권(LIG손해보험),한국씨티증권(씨티은행),KTIC증권(한국창업투자) 등 4곳이며 스카이증권중개(스카이투자자문), ING증권중개(ING은행),한맥증권중개(한맥선물),와우증권중개(코린교역이 대주주 토마토저축은행이 지분 참여),바로증권중개(증권.자산운용업계 출신 박준형씨가 대주주) 등 5곳이 위탁매매업 단종면허를 신청한 상태다.

학계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간평가위원회는 이날 13개 신규 증권사 설립 신청자들의 대주주나 출자자,최고경영자를 일제히 불러 인터뷰를 실시한다.

이번 대주주와 최고경영자에 대한 인터뷰를 거치면 설립 신청서를 낸 13개 증권사에 대한 심사 작업은 사실상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다음달 9일 금융위 정례회의에서 예비인가를 통과한 증권사들은 내부통제시스템과 전문가 영입을 비롯한 인력 확보 등 시행 계획을 이행한 뒤 바로 본인가 신청서를 접수하면 6월 중에 영업인가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다음 달부터는 증권업계 내 인력 쟁탈전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이들 13개 증권사는 설립 신청서에서 연내 총 1000여명의 인력 충원계획을 제출한 상태라 증권사 인력대란이 예고된다.

금융당국이 증권사 진입 문턱을 대폭 낮춰 경쟁 체제를 유도하겠다는 정책 목표를 세운데다 새 정부 들어 대대적인 규제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해온 터라 증권업계 안팎에서는 신청서를 낸 13개 증권사들 중에서 상당수가 심사를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급전 끌어 쓰고 못 갚고…현금서비스·카드론 잔액 동반 증가
  • ‘유퀴즈’ 빌리 아일리시, 블랙핑크 제니와 각별한 우정…“평소에도 연락, 사랑한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2: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65,000
    • -1.39%
    • 이더리움
    • 4,778,000
    • -0.38%
    • 비트코인 캐시
    • 535,000
    • -3.86%
    • 리플
    • 663
    • -1.19%
    • 솔라나
    • 193,900
    • -0.82%
    • 에이다
    • 539
    • -2.53%
    • 이오스
    • 809
    • -0.37%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00
    • -2.94%
    • 체인링크
    • 19,590
    • -2.05%
    • 샌드박스
    • 468
    • -1.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