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 서대문구 한빛미디어 리더스홀에서 '2018 책의 해 조직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제7차 '책 생태계 비전 포럼'이 열렸다. 이번 주제는 '읽는 사람, 읽지 않는 사람'이다.
올해 처음 시작한 '독자 개발 연구'의 중간 결과 발표가 있었다. 연구는 책의 해 기념사업으로 실시됐다. 독자와 비독자(책을 읽지 않는 사람)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독서 여부의 사회적·개인적 원인, 독서 행동과 독서 습관화의 계기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됐다. 국민 독서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근본적인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책임 연구자인 이순영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가 주제 발표를 맡았다. 전국 10세 이상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독서 정도와 연령대에 따라 구분한 6개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FGI)가 진행됐다.
전체 설문조사 응답자의 독서량은 한 달에 1.1권이었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1.2권)이 '남성'(1.0권)보다 높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월별 독서량이 적게 나타났다. 초등학생(7.6권) 때 정점을 찍은 독서량은 이후 하락세를 보였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책을 '전혀 안 읽는다'는 23%, '일 년에 한 번'은 15.4%, '몇 달에 한 번'은 25.1%, '한 달에 한 번'은 17.3%, '일주일에 한 번'은 13.8%, '매일'은 5.4%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매일~일주일에 한 번 책을 읽는 사람은 '애독자', 한 달에 한 번~일 년에 한 번 책을 읽는 사람은 '간헐적 독자', 1년에 한 권의 책도 읽지 않는다고 밝힌 사람은 '비독자'로 분류했다.
애독자와 간헐적 독자 사이에도 독서량 차이는 상당했다. 애독자는 종이책, 전자책을 포함해 한 달 동안 3.5권의 책을 읽는다고 밝혔다. 주당 0.9권 수준이다. 반면, 간헐적 독자의 경우 한 달 독서량은 0.7권에 불과했다. 전체 평균에도 미치지 못했다.
더 큰 차이는 애독자와 간헐적 독자, 비독자 사이에서 나타났다. 애독자·간헐적 독자는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이 들 때 읽는다'고 했지만, 비독자는 '독서에 관심이 없어서 책을 안 읽는다'라는 응답이 48.9%에 달했다. 가장 많은 비독자가 '독서 장애 요인'으로 '독서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33.1%)를 꼽았다.
초등학생 때 책에 대한 흥미가 높았던 이들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시기는 두 번에 걸쳐 있었다. 중고등학생 시기와 20대에서 30대로 넘어가는 시기에 그래프의 변화가 컸다. 60대 이후에도 애독자인 경우, 취학 전부터 흥미도가 높았고, 20대에서 30대로 넘어가는 시기에도 그래프가 꾸준하게 유지됐다. 하지만 간헐적 독자와 비독자는 성인기에 하락 추세가 컸고, 20대 이후 애독자와의 간극이 더 커졌다.
이 교수는 연구 결과에 대해 "왜 책을 읽지 않는지에 대해 분석했을 때 외적인 요인 만큼 내적인 요인이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며 "독자에게는 시간 부족보다 독서에 대한 가치 인식이 부족하거나 독서 습관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독서가 즐거웠던 적이 없다는 게 더 중요한 장애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국민이 책에서 멀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독자도 고정적인 존재는 아니고 변화한다"며 "애독자-간헐적 독자-비독자의 특성과 변동 메커니즘을 이해해서 독서 환경과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 체계가 바뀌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