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8억 들인 정부 해외취업사업…취업률은 48% 불과

입력 2018-10-10 19: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정훈 의원 “17개 사업 2만2844명 지원…취업자는 1만981명뿐”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
정부가 청년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다양한 해외취업사업을 추진했지만 ‘중구난방’식 운영에 그치면서 실제 취업 실적이 저조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회 예산정책처에 의뢰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2015년~2017년) 9개 부처 17개 해외취업사업에 책정된 예산은 1407억5000만원이었고, 이 가운데 1378억2100만원이 실제 집행됐다.

문제는 상당한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했지만 지원자들의 취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17개 해외취업사업을 통해 실제 지원된 인원은 2만2844명인 반면, 이들 중 실제 취업한 인원은 1만981명으로 지원 대비 취업률이 48.1%에 그쳤다.

17개 해외취업사업 중 해외 취업이 확정된 경우 정부 지원이 이뤄지는 고용노동부의 ‘민간해외취업알선지원’ 사업과 국토교통부의 해외인프라시장개척‘ 사업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지원자는 지원 2만698명, 취업자는 8835명으로, 취업률은 42.7%로 각각 줄어든다.

취업 실적이 가장 저조한 사업은 기상청의 ’국제기구 및 양국 간 기상협력 사업‘으로 취업률이 17.3%에 불과했다. 다음으로 외교부 ’중남미지역 국가와의 교류협력 강화사업‘(취업률 20.0%), 문화체육관광부 ’체육문화예술사업의 지원사업‘(23.0%), 외교부 ’국제개발협력 인재양성 사업‘(27.9%) 외교부 ’KF 글로벌챌린지 사업‘(34.2%) 등의 순으로 취업률이 낮았다.

일부 정부 부처에서는 추진 중인 해외취업사업 중 지원한 인원과 취업한 인원에 대한 기초적인 통계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고용노동부의 ’국내 해외취업 지원사업‘, ’해외취업 촉진 인프라 사업‘의 경우 지원 목표 인원과 지원 실적을 따로 조사하지 않았다. 교육부 역시 ’대학글로벌 현장학습‘, ’한미대학생 연수WEST‘ 등의 취업 실적을 파악하지 않았다.

김정훈 의원은 “정부가 해외취업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운영했는데도 2명 중 1명도 제대로 취업이 되지 않았다는 것은 기획·관리와 지원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이라며 “국무조정실에 전체 해외취업사업을 총괄하는 조직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45,000
    • +0.99%
    • 이더리움
    • 4,765,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537,000
    • -1.29%
    • 리플
    • 667
    • +0.45%
    • 솔라나
    • 198,000
    • +0.1%
    • 에이다
    • 545
    • -0.18%
    • 이오스
    • 798
    • -3.86%
    • 트론
    • 177
    • +1.14%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00
    • -0.64%
    • 체인링크
    • 19,160
    • -2.15%
    • 샌드박스
    • 460
    • -3.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