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조선업 생산능력이 10년 전 수준으로 감소했다. 과잉설비 및 구조조정 등 힘입어 가동률은 3년 만에 소폭 상승했는데 이는 광의적 업황이 저점을 통과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10일 조선업계와 통계청 발표자료 등을 보면 지난해 선박 및 보트건조업 생산능력지수는 69.2로 전년(83.4)대비 17.0% 하락했다. 통계 집계(1981년) 이후 최대 낙폭이다.
생산능력지수는 인력과 설비, 조업시간 등이 정상적으로 생산에 투입됐을 때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을 뜻한다.
선박 및 보트건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직전 3년간 유조선ㆍ컨테이너선ㆍ화물선 등 조선업 품목의 최대 생산량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이 지수가 2015년 이후 4년째 뒷걸음질 치면서 10년 전인 2007년(71.4) 수준까지 하락한 셈이다.
2014년부터 본격화한 구조조정 탓에 생산능력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이 2015년 상반기 시작했고, 이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도 불황 끝에 가동을 중단(2017년)했다.
다만 생산능력 대비 생산을 뜻하는 가동률 지수는 지난해 71.5를 기록, 전년(70.7)보다 소폭 올랐다. 이는 2015년 이후 3년 만의 상승 전환이다.
가동률 지수가 상승 반전했다는 것은 구조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의미한다. 미약하나마 생산 효율화의 신호로 해석될 수도 있다.
나아가 조선업 불황이 저점을 통과하면서 상승 기조로 전환했다는 분석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지난해에는 우리 조선사가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수주를 독식하면서 7년 만에 국가별 수주 1위를 탈환하기도 했다.
배세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조선업황과 관련해 "조선업계 최근 주가하락은 주당 순자산가치 하락효과를 대부분 반영한 것"이라며 "조선업 재편 과정에서 당분간 회사 가치의 변동성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