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형오피스 공실률 하락…“공급無, 여의도 임대마케팅 등 영향”

입력 2019-04-05 13: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제금융센터(IFC) 서울(사진=IFC 서울)
▲국제금융센터(IFC) 서울(사진=IFC 서울)

신규 공급이 없자 서울 대형오피스 공실률도 감소했다.

글로벌 부동산컨설팅사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는 ‘2019년도 1분기 서울 오피스시장 보고서’를 발표하며 올 1분기 서울 대형오피스 평균 공실률이 9.1%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전 분기보다 1.2%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전 분기에 이어 이번 분기도 신규 공급 빌딩이 없는 상황에서 여의도권역(YBD)의 공격적 임대 마케팅이 공실면적 해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도심권역(CBD), 강남권역(GBD), 여의도권역(YBD) 모두 공실률이 전 분기보다 감소했다.

CBD는 전 분기보다 0.9%포인트 하락한 12.2% 공실률을 나타냈다. 이는 싱가포르계 공유오피스 브랜드 ‘저스트코’가 서울파이낸스센터에 신규 출점했고, 태평로빌딩에 상조회사인 ‘보람상조’가 3개 층 규모로 입주한 것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월평균 임대료는 ㎡당 3만2619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3%가량 상승했다.

GBD는 0.8%포인트 감소한 4.9% 공실률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3분기 공급된 강남N타워에 외국계 제약연구사 ‘시네오스헬스’와 일본 온라인 쇼핑사이트 ‘지오시스’ 등이 임차 계약하며 공실 면적을 흡수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강남N타워는 준공 1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약 80% 공급면적을 채워 GBD의 높은 임차 수요를 방증했다. 월평균 임대료는 ㎡당 2만8824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약 5.9% 상승해 타 권역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YBD 공실률은 9.3%로 전 분기보다 2.6%포인트를 끌어내렸다. 2012년 IFC 준공 이래 처음으로 한 자릿수 공실률을 기록한 것이다. 이는 IFC3에 ‘메리츠증권’과 자산운용사들이 신규 계약하며 대규모 공실을 해소한 점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지난해 초 대규모 공실 사태 이후 지속해서 이어온 공격적 임대마케팅으로 IFC3 임대면적의 약 80%가 채워지며 YBD 전체 공실률 하락으로 이어졌다. 임대료는 ㎡당 2만3794원으로 지난해 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판교는 0.3% 공실률을 나타내며 0%대 공실률을 이어가는 중이다. 여전히 IT기업들 중심으로 임차수요가 높다. 월평균 임대료는 ㎡당 1만7269원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대법,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유죄 확정…권오수‧‘전주’ 징역형 집행유예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전방위 폭탄에 갈피 못잡는 기업들…공급망 재편 불가피 [美 상호관세 쇼크]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4:5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766,000
    • -0.71%
    • 이더리움
    • 2,706,000
    • -1.92%
    • 비트코인 캐시
    • 450,300
    • +0.4%
    • 리플
    • 3,067
    • -0.52%
    • 솔라나
    • 177,000
    • -3.65%
    • 에이다
    • 966
    • -2.13%
    • 이오스
    • 1,200
    • +1.27%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391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120
    • -1.31%
    • 체인링크
    • 19,500
    • -2.35%
    • 샌드박스
    • 390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