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사이버보안·인프라안보국(CISA)’은 20일(현지시간) 중국산 드론이 민감한 항공정보를 제조업체에 보내 중국 정부가 이에 접근할 위험이 있다는 경계령을 내렸다고 CNN방송이 보도했다.
CISA는 보고서에서 “중국산 드론들은 기관들의 정보에 대한 잠재적 위험”이라며 “드론 제품에는 데이터를 손상시킬 수 있는 구성 요소가 포함됐으며 회사 외부와도 교류하는 서버를 통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정부는 정보기관이 정보에 제한 없이 접근할 수 있게 하거나 접근권을 남용하도록 허용하는 권위주의 국가의 영역 내에 미국 정보를 가져가게 하는 모든 기술제품에 대해 강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이런 우려는 특정 중국제 드론 시스템에 동등한 권한으로 적용된다”며 “커넥티드 기기들은 이들을 사용하는 개인과 조직의 정보를 수집하고 전송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며 “중국은 이례적으로 자국민에게 국가 정보활동을 지원해야 한다는 엄격한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ISA 보고서는 특정 업체를 직접 가리키지는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세계 1위 드론 판매업체이자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둔 DJI를 겨냥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리서치업체 스카이로직에 따르면 DJI는 지난해 전 세계 드론 시장점유율이 74%에 달한 것으로 추정됐다. 북미시장 점유율은 79%에 달한다. 미국 현지 법 집행기관과 인프라 운영업체들은 최근 수년간 드론에 대한 의존도가 커졌다고 CNN은 덧붙였다.
이는 트럼프 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우려를 드론산업에서도 되풀이하는 것처럼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 미국 정보통신 보호를 위한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한 행정명령에 서명해 화웨이와 자국 기업의 거래를 사실상 차단했다. 화웨이는 중국 정부와 협력해 스파이 행위를 할 수 있어 미국 안보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우려를 받아왔다.
중국산 드론에 대한 미국 정부의 우려가 새로운 것은 아니다. 앞서 2017년 미 육군은 DJI가 핵심 인프라와 법 집행 관련 정보를 중국 정부와 공유할 위험이 있다며 DJI 드론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같은 해 이민세관집행국 로스앤젤레스(LA) 사무소는 “DJI가 미국의 주요 인프라 및 법 집행 분야의 정부기관과 민간기업을 선별적으로 겨냥해 민감한 미국의 정보를 수집하고 공격하는 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CISA는 “사용자들이 중국산 드론을 구입할 때 주의해야 한다”며 “기기의 인터넷 연결을 끄고 SD카드를 빼는 등 예방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