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가 3개월 연속 30만 명대 이상 증가를 이어가고 있지만 노인 취업자 증가 폭을 제외하면 취업자 증가는 2000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경제 중심축인 40대 취업자 수가 제조업 부진 등으로 큰 폭으로 줄었다. 눈에 띄는 점은 문재인 정부 들어 40대 취업이 추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50만9000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41만9000명 증가했다.
8월(45만2000명), 9월(34만8999명)에 이어 지난달에도 취업자 수가 30만 명 넘게 증가한 것이다.
이 수치만 보면 고용 회복세가 뚜렷한 것으로 보이지만 깊게 들여다보면 질적으로는 악화된 모습이다.
연령별 보면 지난달 15~29세 취업자 수는 399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9만 명이 늘었다. 50~59세 취업자 수(650만2000)명도 10만8000명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 취업자(499만6000명) 수는 전년보다 무려 41만7000명 증가했다. 반면에 경제 중심축인 30~39세(551만5000명)와 40~49세(649만9000명)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각각 5만 명, 14만 명 줄었다.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를 빼면 취업자 증가 수는 2000명에 불과한 것이다. 연령별 고용률의 경우 40~49세(78.5%·0.6%P↓)만 감소했다.
이처럼 유난히 40대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감소한 이유에 대해 통계청은 좋은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을 비롯한 건설업, 도소매업 고용이 감소한 것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수출과 투자 부진 등으로 8만1000명 줄어 19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와 함께 재취업 대신 창업에 뛰어들어 취업 규모가 준 것도 40대 취업자 감소의 원인으로 꼽힌다.
반대로 60세 이상인 노인 취업자가 대폭 늘어난 것은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만든 노인 일자리가 취업자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40대 취업이 줄고, 노인 취업이 크게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최근 역대 정권 중 문재인 정부가 유일하다.
이명박 정부(2008~2012년)의 60세 이상 취업자 평균 증가 폭은 9만8000명이며 40대 증가 폭도 3만7000명을 기록했다. 박근혜 정부(2013~2016년)도 전 정권보다 줄긴 했지만 60세 이상(19만3750명↑)과 40대(4500명↑) 취업자가 플러스를 보였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부터 2018년까지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은 24만400명으로 이명박 정부보다 2배 더 늘었다. 반면에 40대의 경우 8만5500명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제조업과 경제 허리인 40대 취업자 감소를 막기 위한 정부의 성장동력 확충 등 정책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