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2일 글로벌경제 향방을 좌우할 주요 리스크로 이같이 꼽았다. 우선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관련 협상과 홍콩사태 관련 불확실성은 금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봤다. 노딜 브렉시트 가능성은 거의 소멸됐지만 EU와 영국간 통상관계 협상 등이 원만히 이뤄지지 않을 수 있고, 홍콩사태도 9월 입법회 의원 선거 전후로 시위양상이 재차 과격해질 여지가 있다고 봤다. 최근 불거진 미국과 이란간 충돌로 중동정세가 불안한 가운데 전면전으로까지 확대되진 않겠지만 긴장이 단기에 해소되긴 어려울 것으로 평가했다.
미·중간 무역협상은 1단계 합의에 도달하면서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됐으나, 향후 협상 의제가 중국의 제도 및 경제구조적 측면과 연관돼 있어 추가 합의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난관이 존재할 것으로 봤다.
최근 미국이 프랑스 디지털세 부과에 대응해 연간 24억달러 규모의 보복관세 예비품목을 공개하는 등 미·EU간 갈등도 심화조짐을 보이고 있다. EU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부과 여부가 미·EU간 통상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과 대만 선거, 인도 시민권법 개정, 프랑스 연금개혁 등 다양한 정치적 이슈도 전개 양상에 따라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끝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기업·정부 부문의 부채총계를 의미하는 매크로 레버리지가 2018년 감소세에서 2019년 다시 반등하고 있는 점도 우려스럽다는 진단이다. 이는 최근 각국이 완화적 거시정책을 편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금융위기전 200% 내외 수준이던 글로벌 부채는 지난해 상반기중 240%대 초반까지 확대됐다. 선진국은 정부부채를 중심으로, 신흥국은 기업부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늘었다.
김근영 한은 국제경제부장은 “미·중간 2단계 무역협상은 양국간 견해차가 커 갈등이 부각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미·EU간 문제도 생각보다 부각될 수 있겠다. 무역구조와 관련해 영향이 커질 수 있어 유의해서 봐야할 것이다. 미 대선과 대만, 인도, 프랑스, 중남미 등 정치적 이슈도 지켜봐야한다. 글로벌 레버리지 확대도 정책을 추진하면서 유의해 봐야할 변수”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엔 미중 무역분쟁을 위시해 글로벌 충격이 컸고, 반도체까지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자주 보지 못했던 충격에 무역 파급효과에 대한 충격이 컸다”며 “올해는 좀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나 안심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세계경제가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리스크관리를 잘할 필요가 있겠다. 필요하다면 국가간 정책공조도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