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실업자 10명 중 2명(21.6%)은 20대 후반(25~29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로 7년째 1위다.
13일 OECD에 따르면 2018년 한국 전체 실업자에서 25∼29세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1.6%로 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2위는 덴마크(19.4%), 3위는 멕시코(18.2%)였다. 미국은 13.0%, 일본은 12.6%였다.
특히 한국은 2012년(20.2%) 이후 7년째 실업자 가운데 20대 후반 비중이 OECD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20대 후반은 7.8%에 불과하지만 실업자 다섯 명 중 한 명은 20대 후반일 정도로 실업 문제는 이들에게 집중돼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커 청년들이 구직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대기업에 들어가길 원하며 기업 입장에선 대졸 초임이 높고 노동 유연성은 낮아 신규 고용을 꺼리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한다.
실제로 통계청이 지난해 말 공개한 ‘2017년 임금 근로 일자리별 소득(보수) 결과’를 보면 2017년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223만 원으로 대기업(488만 원)의 45.7%에 불과했다.
또 첫 직장의 규모가 향후 임금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한국적인 현실도 크게 작용한다. 20대 청년들이 대기업 취업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4년제 대졸 남성이 첫 직장에서 평균 임금보다 10% 높게 받는 경우 9~10년 차에도 4.4% 이상 높은 상태를 유지했다.
100명 이상 사업장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은 그보다 작은 규모의 사업장 종사자보다 1~2년 차 때 약 13% 높은 임금을 받았고, 9~10년 차에도 9% 정도 많은 임금을 받았다.
또 첫 직장에서 상용직으로 근무하면 1~2년 차 때 임금이 임시·일용직인 경우보다 약 14% 높았다. 9~10년 차가 되면 약 15% 많았다.
KDI는 “청년취업인턴제나 취업성공패키지처럼 단기 실적 위주의 청년 고용대책을 개선해야 한다”며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유연성과 안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