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는 정치적, 이념적 차원의 접근이다. 봉준호 감독은 박근혜 정부 당시 영화계의 블랙리스트에 당당히 올라 있었다. 따라서 원죄가 있는 자유한국당은 결국 오버를 하고 말았다. 대구에 ‘봉준호기념관’을 짓겠다는 한국당의 어느 총선 후보의 공약이 그것인데, 부끄러움은 결국 대구 유권자의 몫임을 확인해줄 뿐이었다. 여기에 한술 더 떠 보수언론 출신의 한 평론가는 자신의 유튜브 방송에서 “‘기생충’은 결코 한국에서 상영할 수 없는 계급혁명선동의 좌빨 영화이며, 이 영화를 투자한 CJ는 엄청난 실수를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흐름은 작품 그 자체에 대한 조심스런 비판이다. ‘기생충’은 봉준호 감독의 전작에 비해 그 날카로움과 풍자와 유머가 무뎌졌으며 ‘설국열차’ ‘옥자’에서 주장했던 메시지의 자기복제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아카데미 수상은 그간 ‘백인들의 잔치’였던 아카데미 심사위원회가 나름의 개혁과 다양성 제고를 보여주기 위한 쇼에 불과하며 이런 흐름 덕에 수상 운이 겹쳤다는 것이다. 물론 그렇더라도 영화 자체의 완성도에 대해선 딴지를 걸진 않는다. 외국의 반응도 둘로 갈린다. 유럽 등 서방은 칭찬 일색이나, 일본은 이 영화가 과연 작품상까지 받을 정도인지를 묻는 설문조사를 하는 등 다소 시샘 어린 태도를 보였다.
이 밖에도 수상소감에 굳이 CJ의 이미경 부회장이 나서야 했느냐, 축하파티에 왜 상관도 없는 공효진과 이하늬가 끼었느냐(결국 이하늬는 즉각 사과문까지 올리는 해프닝을 낳았다)까지 천태만상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이 순간에도 영화, 방송 제작 스태프들은 열악한 작업환경에 노출되어 급기야 자살까지 하는 비극적 뉴스가 할리우드의 잔치 소식과 함께 흘러나오고 있다. 아직도 우리 사회엔 ‘기생충’이 너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