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현지시간) 미국의 경제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프랑스 금융사 나티시스의 쉬지안웨이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경제 회복을 배경으로 조금 우려되는 것은 수요 부진, 특히 소비 분야다”며 “소비가 완전히 반등하기까지는 여전히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쉬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중국의 가계 소득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는 점을 언급했다. 올해 1~3분기 중국 도시 가구의 평균 가처분 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소득이 전년 대비 7.9% 불어났던 것을 감안했을 때, 증가세가 크게 둔화한 셈이다. 소득 증가세 둔화가 소비 부진으로 이어졌다.
이처럼 약한 수요 부진은 최근 중국의 경제지표에서도 나타났다. 지난달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0.5% 하락했다. 중국의 월간 CPI가 전년보다 하락한 것은 2009년 10월(0.5% 하락)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특히 소비재 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 떨어졌다. 선젠광 JD디지츠 이코노미스트는 이와 관련해 “중국의 생산 회복은 나쁘지 않지만, 수요는 여전히 약하다”며 “CPI 하락은 중국의 공급이 수요보다 얼마나 큰지를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전반적으로 생산에 비해 소비 회복이 더딘 이유로는 가계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책 부족이 꼽히고 있다. 일본 노무라홀딩스의 롭 수바라만 글로벌 매크로 리서치 대표는 “전반적으로 중국에서 소비가 둔화했다”며 “그 이유 중 하나는 현재까지 가계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책이 미국이나 유럽에서 행해졌던 것보다 그렇게 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 증시도 미국만큼 강하게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 많은 자산을 바탕으로 한 소비에 대한 자신감이 그만큼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경우 중국의 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최근 전 세계 대부분 국가가 코로나19 사태 충격파로 맥을 못 추는 상황에서 거의 유일하게 ‘V자 반등’을 달성하고 있다.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올해 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20개국(G20) 중 플러스 성장이 예상되는 곳은 중국이 유일하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현재까지 이러한 회복세를 이끌어 온 것은 제조업과 수출, 인프라 투자 등 전통적인 성장엔진이었다. 소비가 계속해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한다면 경기 회복의 한계는 물론, 내수를 경제 발전의 핵심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시진핑 지도부의 전략에도 차질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