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와 금융당국의 잇따른 유동성 지원 기대감을 반영하며 단기 반등 기조를 지속하는 은행주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시선은 여전히 차가운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업계는 그동안 은행주 투자는 여전히 불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상황속에서도 정책효과에 힘입어 반등 랠리를 지속하고 있지만 펀더멘탈의 호전이 뒷받침되지 않은 이같은 행보는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해왔다.
외국계투자자들 역시 이와 별반 다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투자증권은 이달초(12월1일~5일) 홍콩 및 싱가포르 지역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국내 은행업종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다.
외국 기관투자자들은 이 기간 동안 국내 은행주에 대해 현재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저평가받고 있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는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로 인한 대손비용 증가에 따른 실적 부진 우려와 고금리 후순위채 발행을 통한 자본확충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근거로 국내 은행주 투자에 대한 우려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국내에서 제시되고 있는 일련의 구제책들이 은행주를 둘러싼 문제를 해결할 만큼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과 PF 및 키코 등과 같은 위험자산에 대한 부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고 이들은 판단했다.
다만 일부 투자자들의 경우 위험자산에 대한 부실 우려가 주가에 이미 반영됐다고 판단, 은행의 자본을 훼손할 만큼 큰 규모가 아닐 것이라며 매수를 재개할 의사를 피력했으나 이 역시 단기 반등에 따른 매수라는 관점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지난 한달간 1000선에서 지루한 등락을 반복했던 코스피지수가 최근 국내외 안팎에서 일고 있는 경기부양 기대감을 반영하며 전날 1100선을 재탈환하는 모습을 연출, 대다수 업종이 반등에 성공한 상황속에서 은행업종도 이날 무려 6.1% 급등세로 마감했다.
그러나 외국인들이 주로 거래하는 외국계 회원사 매매창구를 살펴보면 외국인들의 은행주를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싸늘하다는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외국인들이 전날 반등장에서 가장 많이 팔아치웠던 종목은 외환은행과 하나금융지주가 나란히 포진해 있다.
특히 외환은행의 경우 매수세 유입은 전혀 없이 오로지 90만주 이상 순매도세를 기록했고 하나금융지주의 46만주 순매도세와 비교했을 때 두배에 육박하는 매도 물량이다. 이어 대구은행도 34만주 이상 팔아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투자증권은 이달초 외국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에서 국내 은행주 투자와 관련해 고 레버리지 자산의 부실 가능성을 감안해 향후 추가적으로 다른 형태의 자본확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근거로 국내 은행주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이 요구된다고 권유했다고 해외 기관 투자자들에게 설명했다.
황헌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실물경기 침체를 감안할 때 부실증가 및 제한적인 자산증가가 예상돼 이자수익 의존도가 높은 국내 은행의 경우 수익성이 급감할 가능성이 높아 이같은 전략을 제시했다"며 "외국인들 역시 국내 은행들은 수익성 개선보다 자본적정성 및 자산건전성 등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그 역시 "최근 시중자금의 유입이 증가세로 돌아섬에 따라 은행의 유동성은 지표상으로 다소 개선된 것으로 비춰지지만 자금유입이 고금리 수신에 국한된 점과 자본확충을 위한 고금리 후순위채 발행에 따른 결과라는 점을 감안해야 하므로 은행주에 대한 보수적 접근 시각을 여전히 견지한다"고 밝혔다.
김은갑 NH투자증권 연구원도 "건설업과 부동산PF 중심의 자산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 및 원ㆍ달러 환율상승에 따른 통화옵션 손실에 대한 우려, 그리고 중소기업중심의 연체율 상승과 충당금 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 등 은행주 리스크요인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해소되는 과정이 여전히 불가피해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준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 주가는 환율과 집값의 함수로 평가할 수 있다"며 "통화옵션관련 손실은 환율 상승에 따라 손실이 비례할 가능성이 높고 건설업체 대주단 협약, 키코 손실기업 지원 등은 일시적으로 대출 부실화를 막을 순 있어도 이들 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로 은행권의 부담 역시 증가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