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는 명품? 백화점, ‘에루샤’ 잡아라

입력 2021-03-15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1-03-15 16: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사진제공=롯데쇼핑)
(사진제공=롯데쇼핑)

백화점들이 해외 명품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샤넬과 루이비통, 에르메스 등 이른바 빅3 명품 브랜드 유치는 매출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데다, 지역 랜드마크로서 지위도 확보할 수 있다. 롯데백화점 본점과 최근 문을 연 더현대서울이 명품 백화점으로 도약하기 위해 애쓰는 가운데 신세계 대구점은 빅3 명품을 모두 입점시키며 대구ㆍ경북권에서 사상 첫 매출 1조 점포를 노린다.

◇ 롯데 본점, 명품 올라타고 1위 점포 탈환할까

롯데백화점 본점이 자존심 회복에 나선다. 롯데 본점은 2016년까지 2조 원 육박한 매출로 부동의 전국 1위 점포였으나, 신세계 강남점의 공세에 떠밀려 2017년부터 4년 연속 2위에 머물러 있다. 롯데 본점은 명품을 선봉장으로 내세워 전체 매장의 절반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본점 에비뉴엘과 영플라자의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통해 명품 브랜드를 대거 입점시키기로 했다. 당초 롯데 본점의 명품 구성비는 15% 내외였으나 지난해 리모델링을 추진하면서 20% 이상으로 높이기로 한 바 있다. 최근에는 이를 절반으로 더 높여잡았다.

에르메스 브랜드 유치도 추진 중이다. 롯데 본점은 빅4 백화점 본점 중 유일하게 명품 빅3 매장을 모두 보유하지 않은 곳이다.

현재 롯데 본점은 리뉴얼을 마치게 되면 명품 매장이 전체 영업 면적의 절반 수준으로 확대된다. 이달 초 본점 5층 남성 명품관 공사는 시작했고, 지하 1층부터 4층까지 식품과 잡화, 여성의류 매장 리모델링은 올 하반기부터 진행하기로 했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본점 리뉴얼을 거쳐 명품을 비롯해 컨템포러리 브랜드 중에서도 고가 제품을 최대한 입점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올해 6월 문을 여는 동탄점도 ‘수도권 최대 규모 백화점’으로 프리미엄과 명품 백화점을 표방한다는 방침이다. 이 점포는 영업면적 약 7만5900㎡으로 지하 2층~지상 6층으로 구성됐다. 전국 롯데백화점 점포 중 잠실점에 이어 2번째로 넓은 점포이며 단일 건물로 따지면 가장 큰 초대형 점포다.

◇ 롤렉스ㆍ‘에루샤’ 품고 1조 매출 꿈꾸는 ‘신세계 대구점’

2019년 4월 대구 유일한 공식 롤렉스 매장이 롯데백화점 대구점에서 신세계 대구점으로 이동했다. 이어 지난해 말에는 에르메스 부티크 매장이 현대백화점 대구점에서 신세계 대구점으로 옮겼다. 현대는 부산점에 이어 두번째로 에르메스를 신세계에 뺏기는 수모를 겪었다. 이에 따라 신세계 대구점은 부산 신세계 센텀시티점과 함께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 3대 명품을 보유한 두번째 백화점이 됐다.

지난주에는 샤넬마저 신세계 대구점에 둥지를 틀었다. 샤넬의 신세계 대구점 입성은 시작부터 화제를 모았다. 12일 매장 오픈에 앞서 전날부터 고객들이 캠핑 의자와 담요를 동원해 줄을 섰다. 지난해말 에르메스 오픈 당시 대기하던 100여 명은, 샤넬 오픈 때 250명으로 더 몰렸다.

업계의 관심은 신세계 대구점이 샤넬과 에르메스를 품고 언제 매출 1조 원을 달성할지 여부다. 2016년 오픈한 신세계 대구점은 2017년 매출 6663억 원, 지난해에는 8000억 원에 거의 육박했다. 전망은 밝다. 신세계 대구점이 위치한 동대구역에는 엑스코선과 대구권 광역철도 등이 예정돼 있다.

최근 더현대서울 오픈으로 서울 최대 면적 백화점 자리를 뺏긴 신세계 강남점도 리뉴얼로 덩치를 불린다. 이 점포는 최근 1층에 있던 명품을 2층으로 옮기고, 2층 럭셔리 화장품은 1층으로 내리면서 1층과 2층 사이에 중층을 만들기로 했다. 이럴 경우 수백평의 공간이 생겨 더현대서울의 연면적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사진제공=현대백화점)
(사진제공=현대백화점)

◇ 주차 대기만 1시간 더현대서울...매출은 10위권 밖?

7년 만에 서울에 새롭게 등장한 백화점인 더현대서울은 이미 신기록을 여럿 쓰고 있다. 지난달 24일 사전 개장 이후 더현대서울의 6일 동안 매출은 약 380억 원으로 당초 목표 130억 원보다 3배나 높다. 방문객은 150만 명으로 기록적인 ‘오픈빨’이다. 현대는 차량 2부제를 실시하고, 인기 높은 F&B(식당가)매장에는 사전 예약 시스템을 도입할 정도다. 고객들 사이에 "주차하는데 1시간, 식사하려면 40분 기다려야 한다"는 불만이 터져나온다.

아런 추세라면 현대백화점의 올해 예상 매출 목표 6500억 원은 훌쩍 뛰어 넘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2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한 국내 1위 백화점인 신세계 강남점에 턱없이 못미치는 것은 물론이고, 현대백화점 점포로도 판교점과 무역센터점(8841억 원), 본점(8815억 원)에 이은 4위다.

업계에서는 명품 유치 난항을 지적한다. 코로나19 여파에 백화점으로 가는 발길이 줄어든 가운데 백화점 매출의 핵심은 얼마나 많은 명품을 유치하느냐가 관건이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현재 루이비통 등 다수의 유명 명품 브랜드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오픈하자마자 3대 명품이 입점하는 사례는 매우 드문 경우로 향후 명품 브랜드를 보강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업계서는 쉽지 않은 과제로 보고 있다. 백화점 관계자는 “경쟁업체서도 에르메스 등의 입점 유치에 나선 가운데 명동과 강남의 중간 위치인 여의도에 매력을 느낄지 의문”이라면서 “다만, 3대 명품은 통상 오픈 후 상황을 보고 입점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 흥행과 이슈에 중심에 선 점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 에ㆍ루ㆍ샤에 승부 거는 백화점, 왜?

코로나19가 강타하며 지난해 2월부터 12월까지 백화점 매출은 10월을 제외하고는 매월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였다. 그런 가운데서도 해외명품 매출은 계속 성장세다. 지난해 3월 -19,4%를 빼고는 모두 20~30%대의 성장률이다. 이에 따라 명품이 백화점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6년 13.5%에서 2018년 19.3%를 거쳐 작년에는 30.0%로 사상 처음으로 30%대를 기록했다.

실제 지난해에는 명품 입점 여부에 따라 백화점 점포별 성적이 엇갈렸다. 코로나19 여파에도 매출 선방이 가능했던 곳은 샤넬과 에르메스, 루이비통 등 이른바 명품 3대 브랜드를 갖춘 점포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작년은 명품이 백화점의 끝모를 추락을 막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면서 “명품 브랜드는 입점 총 갯수를 관리하기 때문에 백화점들은 수수료 인센티브를 제시하기도 하지만, 통상 지역에서 가장 잘나가는 점포에만 입점하려고 해 영입 경쟁이 치열하다”라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백화점들이 실리보다 자존심만 앞세운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실제 명품의 경우 매출을 방어할 수 있지만 수수료가 높아 내실에는 크게 도움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매출 1조’를 넘어서야 랜드마크 이미지가 굳어지는 효과 때문에 백화점으로서는 울며 겨자먹기로 명품을 유치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백화점 관계자는 “명품은 매출은 높지만 인테리어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해야해 오히려 이익은 제살 깎아먹기일 수 있다”면서도 “고객 유치에는 도움이 되지만, 이면에는 업체간 치열한 자존심 싸움이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10만 달러 못 넘어선 채 급락…투심 위축 [Bit코인]
  • 기본으로 돌아간 삼성전자…'기술-품질' 초격차 영광 찾는다
  • 수도권 대설 특보…산본IC 진출입도로 양방향 통제
  • 분당 ‘시범우성’·일산 ‘강촌3단지’…3.6만 가구 ‘1기 선도지구’ 사업 올라탔다 [1기 선도지구]
  • 美ㆍ中 빅테크 거센 자본공세…설 자리 잃어가는 韓기업[韓 ICT, 진짜 위기다上]
  • 재산 갈등이 소송전으로 비화…남보다 못한 가족들 [서초동 MSG]
  • 9월 출생아 '두 자릿수' 증가…분기 합계출산율 9년 만에 반등
  • 연준 “향후 점진적 금리인하 적절...위험 균형 신중히 평가”
  • 오늘의 상승종목

  • 11.27 14:4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734,000
    • -1.19%
    • 이더리움
    • 4,770,000
    • +0.25%
    • 비트코인 캐시
    • 691,500
    • -0.65%
    • 리플
    • 1,912
    • -4.92%
    • 솔라나
    • 320,900
    • -3.02%
    • 에이다
    • 1,345
    • -1.39%
    • 이오스
    • 1,104
    • -5.24%
    • 트론
    • 276
    • -1.43%
    • 스텔라루멘
    • 604
    • -12.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350
    • -2.94%
    • 체인링크
    • 25,000
    • +2.59%
    • 샌드박스
    • 825
    • -9.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