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전략] 올해 경제성장률 4%까지 가능…한은 금리 인상 내년 하반기 전망

입력 2021-04-01 08: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1-04-01 08:05)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1일 증시 전문가들은 올해부터 내년까지 이어지는 세계 경제 성장과 함께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GDP, 국내총생산)도 최고 4%대 까지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시기는 내년 하반기로 전망했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 = 2021~2022년 글로벌 경제성장률(GDP) 전망은 5.8%과 4.0%로 1월 당시 전망했던 것보다 높다. 미국의 부양책이 가세했고, 제조업 회복속도가 더욱 빨라져 한국 전망도 상향 조정했다.

유로존의 경우는 올해보다 내년 중 회복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2023년 말 첫번째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유는 전망의 상향 조정 위험이 있기 때문이며, 대부분은 바이든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패키지에 기인한다. 오늘 발표되는 패키지는 그 중 일부며, 몇 개월 후 공약내용을 모두 포괄하는 2차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이는 2022년 이후 경기진작 요인이 되면서 시차를 두고 2023년 PCE물가상승세를 가속화시킬 것이다.

한국 경제전망의 상향 조정(2021년 3.3%, 2022년 2.6%)은 예상보다 빠른 수출과 설비투자 회복에 기인한다. 결과적으로 한국 경제가 이 페이스대로 내년까지 성장세를 이어간다면 실질 GDP는 내년 하반기 잠재 GDP에 수렴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이 무렵(2020년 하반기)부터 금리인상을 재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 수출 및 제조업 사이클의 강한 확장세에 힘입어 향후 국내 경기 흐름을 예고하는 경제심리지수와 경기선행지수 역시 강한 상승 폭을 기록했다. 3월 경제심리지수는 101.3으로 2월에 비해 4.7포인트 상승하면서 2018년 5월(101.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역시 2월 102.7에서 3월 102.9로 0.2포인트 상승하는 등 2분기에도 양호한 국내 경기흐름이 이어질 것임을 예고한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올해 국내 GDP성장률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는 3월 전망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GDP성장률을 3.6%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1월 전망보다 0.5%포인트 상향 조정된 수치다.

일부 투자은행(IB)들의 올해 국내 GDP성장률 전망치는 더욱 낙관적이다. UBS는 4.8%의 높은 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하고 있고 JP모건과 골드만삭스도 4.1%로 4% 이상의 성장률을 전망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45,000
    • +2.82%
    • 이더리움
    • 4,839,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3.26%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6,000
    • +4.25%
    • 에이다
    • 552
    • +2.03%
    • 이오스
    • 812
    • +2.14%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2.84%
    • 체인링크
    • 20,110
    • +5.73%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