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신년사를 통해 업계 구조조정 가능성이 대두된 가운데, 이에 화답이나 하듯 건설사들에 대한 퇴출 기준이 확정됐다.
이에 따라 약 300개 건설사가 퇴출 또는 워크아웃 등 구조조정 대상이 될 전망이다.
2일 은행연합회의 '건설사 신용위험 평가 운용 지침'에 따른 부채비율이 300%를 넘는 건설사에 대한 퇴출 작업이 본격화할 예정이다.
지침에 따르면 건설사의 배점 비중은 재무 항목이 40%, 비(非)재무 항목이 60%다. 재무 항목 중 부채비율 300% 이상, 차입금 의존도 50% 이상, 매출액 대비 운전자금 비율 70% 이상, 매출액 대비 현금성자산 비율 2% 미만이면 D등급으로 분류된다.
2일 한 증권사에는 높은 부채비율로 D등급을 받아 퇴출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건설사는 모두 14개사 가량인 것이라는 분석자료를 냈다.
이 자료에 따르면 10위권내 대형 건설사로는 재벌 계열 건설사인 S건설과, 20위권 내 업체들 중에서는 K건설, P산업이 이에 해당한다. 30위권에서는 D건설과 N토건, H건설 등이 있다.
이와 관련 S건설 관계자는 “3분기 기준 부채비율 300% 이상은 작년 9월 기준 수치“라며 ”내부적으로 자체 계산결과 12월 기준으로 보면 300% 떨어질 것으로 예상 한다“고 말했다.
K건설 관계자는 “3분기 기준으로 355%인데 현재 다른 자료가 나온 것이 없다”며 “자료가 나왔다 해도 확정이 안돼 공시 위반이므로 발표를 할 수 없다”고 밝혔다.
P산업 관계자는 “4분기 부채비율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다”며 “부채비율을 300% 아래로 낮추기 위해 PF 상환 등 자구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D건설 관계자는 “건설사 특징이 하반기로 갈수록 좋아질 것으로 보기 때문에 문제 없다”며 “현재 미분양이 없기 때문에 부채비율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