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이준석 만날 의향?…윤석열 답변은

입력 2021-12-01 11: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무리한 연락보단, 복귀하면 만나서 이유 들어야"
"휴대폰 꺼놨다니, 생각 정리 필요할 듯"
"이런 문제는 얼마든지 있을 수 있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일 오전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을 방문, '겨레의 함성관'에서 전시물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일 오전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을 방문, '겨레의 함성관'에서 전시물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이준석 당대표 '패싱' 논란에 대해 입을 열었다.

윤 후보는 1일 천안 독립기념관을 방문한 후 기자들과 만나 전날 이 대표의 돌연 잠적 사태와 그동안 꾸준히 제기된 패싱 논란에 대해 "자세한 이유는 만나서 들어야겠고, 이 대표가 부산에서 언제 복귀할지는 모르겠지만 서울 올라가면 얼마든지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며 대화 가능성은 열어뒀다.

그러면서도 ‘오늘이라도 직접 만나러 갈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어제 이야기 듣기로는 본인의 휴대폰을 다 꺼놨다고 해서 무리해서 연락하는 것보다 (부산에 있다고 하니) 생각을 정리하고 당무에 복귀하는 게 나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당장 이 대표를 만나러 가기보단 당무에 복귀하면 만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민주적 정당 내에서 다양한 의견 차이와 이런 문제는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것"이라며 "합의점 찾아 나아가는게 민주적정당이지, 일사분란한 지휘명령체계가 있다면 그게 민주적 정당이겠나"고 강조했다.

권성동 선거대책위원회(선대위) 종합지원총괄본부장도 이날 오전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이 대표의 잠적과 관련해 ”왜 그런 결심을 하고 결정을 하셨는지, 이유가 뭔지에 대해서도 잘 파악이 안 되고 있다“며 ”직접 만나 뵙고 어떤 부분이 패싱인지, 어떤 부분에 대해서 섭섭함을 느끼고 계신지 등에 대해 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달 29일 페이스북에 “그렇다면 여기까지입니다”는 의미 심장한 글을 올리고 다음날 일정을 전면 취소, 잠행을 이어가고 있다. 윤 후보 선대위 인선, 일정 조율 과정에서 ‘패싱’ 논란이 제기되자 중대 결심을 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다만, 그 와중에 부산을 방문해 지역 현안을 청취한 것으로도 확인되면서 '사퇴' 가능성은 낮아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310,000
    • +1.65%
    • 이더리움
    • 2,806,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458,900
    • -1.12%
    • 리플
    • 3,175
    • -0.16%
    • 솔라나
    • 192,600
    • +1.37%
    • 에이다
    • 1,016
    • +0%
    • 이오스
    • 1,249
    • +21.38%
    • 트론
    • 352
    • +0.57%
    • 스텔라루멘
    • 402
    • -2.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640
    • -1.35%
    • 체인링크
    • 20,560
    • -2.93%
    • 샌드박스
    • 406
    • -2.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