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오지 않는 청년들]지방은 ‘소멸 위기’ 서울은 ‘청년 포화’…모두가 불행해졌다

입력 2021-12-02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도권 인구 집중도, 2020년 지방 앞질러 고령층만 남은 지방, 추가 인구 유출로 최근에는 ‘집값 급등’에 탈서울 조짐

지방 청년들의 서울행은 지방과 서울 모두에 반가운 일이 아니다. 지방은 생산연령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소멸 위기에 직면했고, 서울은 청년 과밀로 실업난·주거난에 신음하고 있다.

8월 감사원의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의 인구 집중도는 1960년대에는 전체 인구의 20.8%였으나, 1990년 42.7%, 2010년 49.3%로 꾸준히 증가해 2020년에는 50.1%로 지방 인구를 앞질렀다. 이는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영국 12.5%, 프랑스 18.8%, 일본 28%)보다 2~4배 높은 수준이다.

수도권 인구 집중의 주된 배경은 청년층의 이동이다. 이는 지방 인구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 먼저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은 가임여성 유출에 따른 출산력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결국 전국적인 저출산 현상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감사원은 전국 229개 시·군·구의 69%인 157개 시·군·구의 경우 2047년부터 청년층, 특히 젊은 여성인구의 유출로 인해 초고령화에 이르게 되며, 대부분의 공동체를 구성하는 젊은 층 인구 기반이 소멸할 것으로 예상했다.

청년 쏠림은 수도권 입장에서도 달가운 일만은 아니다. 취업난·주거난이 심화되면서 비혼·만혼이 추세화되고, 그 결과로 출생아도 준다. 감사원은 수도권의 낮은 출산율이 높은 인구밀도에 따른 청년층의 과도한 경쟁과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비혼이나 만혼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럼에도 더 심각한 쪽은 지방이다. 고령층만 남은 지역은 지역 내 소비가 급감하면서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사업체와 일자리가 사라지게 된다. 이는 지역경제 위축과 지방자치단체 재정 악화, 추가적인 인구 유출로 이어진다. 특히 보건·의료 등 필수시설까지 사라지면 그 지역은 지역공동체로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미 경북 군위군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인구 감소로 환자가 줄면서 입원실·응급실 등이 설치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이 한 곳도 없다.

그나마 최근에는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보증금 급등으로 청년들의 ‘탈(脫)서울’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투데이가 국가통계포털(KOSIS)의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서울 시민은 341만4397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20·30대의 비중이 46%로 절반에 육박했다.

주된 이탈 사유는 집값 상승이다. 서울연구원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통계청의 가구 방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53.0%)은 ‘부모님 도움 없이 내 집 마련은 불가능하다’는 데 동의했다. 이 조사는 만 18~34세 청년 3520명(서울 676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통비 또 오른다?…빠듯한 주머니 채울 절약 팁 정리 [경제한줌]
  • 기본으로 돌아간 삼성전자…'기술-품질' 초격차 영광 찾는다
  • 수도권 대설 특보…산본IC 진출입도로 양방향 통제
  • 분당 ‘시범우성’·일산 ‘강촌3단지’…3.6만 가구 ‘1기 선도지구’ 사업 올라탔다 [1기 선도지구]
  • 美ㆍ中 빅테크 거센 자본공세…설 자리 잃어가는 韓기업[韓 ICT, 진짜 위기다上]
  • 재산 갈등이 소송전으로 비화…남보다 못한 가족들 [서초동 MSG]
  • 9월 출생아 '두 자릿수' 증가…분기 합계출산율 9년 만에 반등
  • 연준 “향후 점진적 금리인하 적절...위험 균형 신중히 평가”
  • 오늘의 상승종목

  • 11.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0,027,000
    • -1.06%
    • 이더리움
    • 4,790,000
    • +0.65%
    • 비트코인 캐시
    • 698,000
    • +0.58%
    • 리플
    • 1,925
    • -3.31%
    • 솔라나
    • 322,700
    • -2.51%
    • 에이다
    • 1,343
    • -0.74%
    • 이오스
    • 1,100
    • -5.34%
    • 트론
    • 276
    • -1.08%
    • 스텔라루멘
    • 618
    • -8.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000
    • -1.9%
    • 체인링크
    • 25,270
    • +3.99%
    • 샌드박스
    • 840
    • -6.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