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퀘스트 임창완 전 대표 점찍은 하이딥, CB 투자 참여…반등 모멘텀 될까

입력 2022-08-25 15: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니퀘스트의 임창완 전 대표이사가 코스닥 상장사 하이딥이 발행하는 전환사채(CB)에 투자자로 참여하면서 박스권에 갇혀 있는 하이딥의 주가 반등에 촉매가 될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하이딥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140억 원 규모의 CB(2회차)를 사모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전환가액은 1604원이며 내년 8월 26일부터 2027년 7월 26일까지 전환청구할 수 있다. 납입일은 26일이다.

하이딥은 CB 발행으로 조달하는 140억 원으로 제품 양산에 90억 원, 연구개발에 50억 원씩 쓸 계획이다.

이번 CB 발행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CB 배정 대상자다. 140억 원 중 엔에이치 메리츠 하이테크 신기술투자조합이 9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으며 ‘LIM CHARLES CHANGWAN’과 ‘LIM ALEXANDRA’가 각각 25억 원씩 CB를 인수하기로 했다.

특히 LIM CHARLES CHANGWAN은 유니퀘스트 최대주주인 임창완 전 유니퀘스트 대표로 추정된다. 유가증권 상장 기업인 유니퀘스트는 비메모리 반도체 판매 및 솔루션 제공사업 업체로 작년 연결 매출 5910억 원에 영업이익 245억 원을 기록했다. 임 전 대표가 42.64%의 지분을 갖고 있다. 또 다른 개인투자자는 임 전 대표와 혈연관계로 추정된다.

국내외 기준 금리 인상과 더불어 최근 사채 발행 금리 역시 올라가는 상황에서 CB 이자율이 ‘0%’라는 점도 눈길을 끈다. 2회차 CB의 표면 및 만기이자율은 모두 0%이며 주가 변동 시 전환가액을 조정하는 리픽싱 조항조차 들어가 있지 않다. 이자 부담 없이 거액을 융통할 수 있게 된 하이딥에 상당히 유리하게 설계됐다.

이에 하이딥의 주가가 전환가액보다 올라가 CB를 주식으로 전환, 장내에서 매도해야만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만큼 임 전 대표를 비롯한 투자자들은 향후 하이딥의 성장 및 주가 상승 가능성을 높게 점친 것으로도 풀이된다.

하이딥 관계자는 “이번 개인투자자가 임 전 대표가 맞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해주기 어렵다”면서도 “유니퀘스트는 하이딥이 상장하기 이전부터 투자해 온 곳”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이딥은 2021년 출시된 삼성전자의 갤럭시워치4에 들어가는 터치 IC를 전량 독점 공급했으며 올해 하반기 출시될 갤럭시워치5의 터치 IC도 독점 공급을 맡게 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하이딥은 2010년에 설립됐으며 IC(칩)와 알고리즘, 센서, 스타일러스(펜) 등을 개발·제공하는 토탈 솔루션 제공 팹리스 벤처기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1: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177,000
    • -1.17%
    • 이더리움
    • 2,710,000
    • -2.8%
    • 비트코인 캐시
    • 450,700
    • -0.44%
    • 리플
    • 3,052
    • -1.48%
    • 솔라나
    • 178,700
    • -3.25%
    • 에이다
    • 974
    • -1.62%
    • 이오스
    • 1,243
    • +21.03%
    • 트론
    • 353
    • -0.56%
    • 스텔라루멘
    • 395
    • -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620
    • -0.47%
    • 체인링크
    • 19,700
    • -3.19%
    • 샌드박스
    • 395
    • -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