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0억 규모 손배소 포기 요청
조기 경영 정상화 변수로 남아
"복지 등 새 요구사항 내일 전달"
산업은행과 조건부 투자합의서(MOU)를 맺은 한화가 사실상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게 됐다. 한화그룹은 13년 만에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재도전해 ‘한국의 록히드마틴’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관건은 대우조선해양 노조와 한화의 힘겨루기다. 한화와 노조의 초반 관계 설정이 회사 운영에 초석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금속노조는 최근 대우조선해양이 하청 지회를 상대로 낸 470억 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도 포기하라고 한화에 요구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대우조선지회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한화 하기에 달렸다. 하청과 같이 내부 이해당사자들의 복지 등을 보강해 담은 새 요구안을 만들었다”며 “오는 19일 금속노조 서울지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 요구안을 밝히고, 한화 측에 공식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조기 흑자전환 등 경영 정상화를 앞세우는 한화로선 변수로 작용하게 될 노조 리스크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대우조선 노조는 지난달 말 대우조선해양 매각 관련 쟁의행위 안건을 놓고 진행한 조합원 찬반 투표에서 찬성 72%가 나와 합법적으로 파업권을 확보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대우그룹 해체 이전 대우중공업으로 1999년 워크아웃(재무 개선 작업)에 들어간 지 23년 만에 사실상 새 주인을 찾게 된 셈이다. 한화는 2008년 대우조선해양을 6조3000억 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맺기도 했으나 노조 반발과 같은 해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무산됐었다.
앞서 산은은 한화와 MOU를 체결한 이후 거래의 공정성 등을 위해 경쟁입찰을 실시하는 ‘스토킹호스’ 절차로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진행했다. 매각을 위한 경쟁입찰이 17일 마감한 가운데 잠재 인수후보자가 등장하지 않으면서 한화의 단독 인수 절차로 넘어가게 됐다. 최대 6주간의 상세실사를 진행하고 연내 최종 인수자로 선정되면, 내년 상반기 안으로 국내외 인허가 승인을 거쳐 매각은 종료된다.
한화는 현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의 방산 부문, 한화디펜스 등 3개 회사에 분산돼 있던 방산 부문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회사를 2030년까지 ‘글로벌 방산 톱 10’ 기업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여기에 대우조선해양이 더해지면 한화는 기존의 방산에서 해양 방산까지 아우르는 ‘육·해·공 통합 방산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는 복안이다.
애초 한화는 특수선 부문만 분리해 인수하고 싶어했으나, 산은이 통매각 방침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화의 방산 부문에는 잠수한, 전투함, 보조함 등 군용 선함이 빠져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1위 함정 건조 업체인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경우 이 부문을 보완하게 된다. 또 한화는 LNG발전과 태양광, 수소 등 에너지 사업에 대우조선해양의 LNG, 원유 시추용 플랜트와 LNG 선박이 더해지면 에너지 생산에서 운송, 발전까지 전 과정에 걸쳐 밸류 체인을 구축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