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통신비 인하 압박에 SK텔레콤이 중간요금제 확대안을 내놨다. 그러나 실질적인 요금 감면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부호가 남는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3일 "SK텔레콤이 17일 신고한 5G 이용약관 신고를 수리했다"며 "구간별·계층별로 다양한 요금제를 신설해 전반적으로 이용자의 선택권이 폭넓게 확대되고 통신비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알뜰폰 도매대가 및 신설되는 중간 구간 요금제 4종에 대한 도매 제공 계획을 제출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용자 이익을 저해하거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할 우려가 낮다고 판단했다"고 부연했다.
SK텔레콤은 5G 중간 구간 요금제 4종 신설과 5G 시니어 요금제 3종 신설, 5G 청년 요금제 11종 및 5G 청년 온라인 요금제 7종 신설 등의 내용을 포함한 5G 이용약관을 신고했다.
5G 중간 구간 요금제는 지난해 8월 출시한 ‘베이직플러스(월 5만9000원·24GB)’에 데이터 옵션을 추가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추가 가능한 옵션은 △13GB(3000원) △30GB(5000원) △50GB(7000원) △75GB(9000원) 등이다. 이에 따라 사용 가능한 데이터양은 각각 37GB, 54GB, 74GB, 99GB로 세분화 됐다.
전체 이용자 대비 데이터 사용량이 적은 만 65세 이상 시니어 계층을 대상으로 한 5G 시니어 요금제 3종도 신설했다. △만 65세 이상 △만 70세 이상 △만 80세 이상으로 요금제를 구분했다. SK텔레콤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데이터 사용량은 적어지는 고객의 이용 트렌드를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6월 1일에는 만 34세 이하 5G 고객을 위한 ‘0(영)청년 요금제’ 7종과 ‘0(영) 청년 맞춤형 요금제’ 4종 등 총 11종을 새롭게 출시한다. SK텔레콤은 0청년 요금제 출시로 만34세 이하 고객 600만 명 이상이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월 4만3000원의 ‘0 청년 43’도 새롭게 추가된다.
이후 KT와 LG유플러스도 5G 중간 요금제 확대 등의 방안을 발표할 전망이다. 이 장관은 "KT나 LG유플러스에서도 내부에서 이런 새로운 요금제 출시를 준비 중으로 알고 있다"며 "조속한 시일 내에 아마 신고를 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KT 측은 "통신패턴 이용을 감안해 새로운 중간요금제나 시니어요금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준비는 하고 있고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시기는 미정”이라는 입장이다.
이번 SK텔레콤의 중간요금제 출시에 대해 정부는 이례적으로 브리핑을 준비하며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실질적으로 이용자의 사용 요금을 인하할 수 있는 대책이 예전보다 상당히 강화됐다는 측면에서 장관이 발표하는 것이 맞는다는 판단이 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기본 요금제 감면 등 대책이 없어 큰 체감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많은 사용자가 5G로 넘어오면서 통신사 수익은 늘어가는 데 충분히 인하 여력이 있으면서도 실질적인 통신비 인하에는 미온적이라는 비판이다.
SK텔레콤은 전체 가입자 중 5G 비중 58%에 도달했다. 1340만 명 수준으로 전년 대비 35.6%포인트 폭증했다. KT는 가입자 845만 명으로 보급률 62%를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5G 보급률이 53.5%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3G, LTE보다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이 1.5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진 5G 사용 고객이 늘어나면서 통신사들은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통신 3사의 지난해 매출 규모는 약 57조9000억 원에 달한다. 특히 영업이익은 4조3835억 원으로 2년 연속 4조의 벽을 깼다.
중간 요금제 출시도 통신사들의 매출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 통신 3사 이동전화 매출액 감소 효과는 연간 1% 미만으로 크지 않을 전망"이라며 "실질 요금 지불 측면에서 차이가 없어 8만 원 이상 고가 요금제 가입자들의 이동은 미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