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출장방문이 대부분으로 체계적인 선박검사에 한계가 있었고 어민들의 불편이 컸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해양수산부와 함께 어업 현실 등을 반영한 중소선박 검사 인프라 개선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현재 공단은 선박검사를 위해 전국 400여 개 항‧포구에 산재한 약 10만 척의 연안 선박을 직접 찾아다니고 있다. 5월 기준 전국 선박검사 현장(18개 지사, 2개 출장소)에 근무하는 검사원 수는 190명으로 검사원 1인당 연간 1274건에 달하는 검사를 해야 한다. 사실상 휴일을 제외하고 하루 평균 5건을 검사하는 셈이다.
법정 검사 외 무상점검 서비스까지 더하면 건수는 더 늘어난다. 여기에 전국 미수검 선박 파악을 위한 현장 방문까지 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공단 검사원이 미수검 선박을 찾아 이동한 거리는 약 1만㎞나 된다.
선박검사 업무를 검사원 개개인이 출장 방문으로 해소하다 보니, 이동시간 관리와 검사 일정 조율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생업에 종사하는 어선이 때맞춰 편리하게 선박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역 거점 인프라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공단은 올해 주요 항구도시인 목포와 인천에 중소선박 종합 안전관리를 위한 지역 거점 인프라(스마트선박안전지원센터)를 구축한다. 센터는 기존의 선박검사는 물론, 해양안전 서비스의 다각화를 통해 중소선박의 안전관리를 종합적으로 관장하게 된다.
주요 업무는 △중소형 선박검사(원격검사, 정밀검사) △선박 안전점검 △선박 종사자 및 대국민 해양안전 체험교육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활용 친환경 소형어선 건조 기술 교육 등이다.
인천권 센터는 남항 동측부지에 목포 서남권 센터는 북항 배후단지 부지에 지상 2층 규모로 들어선다. 각각에 총사업비 110억 원이 투입됐다. 이중 목포 서남권 센터는 22일 준공하고 인천권 센터는 하반기 준공한다.
공단은 또 선박도 자동차처럼 전국 거점 검사장을 사전 예약 방문해 검사받도록 개선을 추진한다. 국가 어항 안에 선박(어선) 검사장을 조성하는 방안으로 하반기 시범운영을 준비 중이다.
전국 117개 국가 어항 시설(수리장, 선양장)을 중심으로 관련 제도와 예산을 정비해 2026년까지 동해권·남해권·서해권 등 권역별 국가 어항에 선박 검사장을 6개씩, 총 18개를 확대 운영하는 것이 목표다.
앞서 공단이 올해 초 전국 주요 어촌계와 조선소 관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가 어항 안에 선박 검사장 구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86%에 달했다.
스마트선박안전지원센터와 국가 어항 내 선박검사장 등 중소선박 안전관리 거점 인프라 구축과 선박 원격검사 방안이 추진되면 선박검사 소요 시간은 획기적으로 줄고 검사 품질은 높아질 전망이다.
김준석 공단 이사장은 “공단이 매년 검사하는 선박 척수보다 자동차 대수가 100배 넘게 많은데, 연간 검사 출장 건수는 선박이 자동차보다 약 3배 더 많다”며 “지역 거점 인프라 구축을 통한 선박검사 서비스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선박검사의 효율성과 내실을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