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엔당 원화 환율(원·엔 환율)이 어제 장중 800원대를 터치했다. 오전 8시 23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이 897.49원으로 고시된 것이다. 최종 환율은 지난 주말보다 1.39원 오른 905.21원으로 고시됐지만 그렇더라도 800원대를 노크한 것은 범상히 넘길 문제가 아니다. 수출 전략, 여행 수지 등 다방면에서 챙겨야 할 과제가 허다하다.
원·엔 환율의 800원대 진입은 2015년 6월 26일 이후 8년 만이다. 엔화가 최근 약세(엔·달러 환율 상승)로 돌아선 영향이 크다. 국내 외환시장은 미 달러화와 중국 위안화만 직접 거래한다. 원화와 엔화는 직거래시장이 없다. 달러화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계산된다. 그래서 재정환율이다. 이 환율이 지난달부터 가파르게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전달에만 54.65원(5.5%) 떨어졌다. 그러다 급기야 800원대까지 두드린 것이다.
엔화 약세는 사실상 제로금리라는 초저금리 정책을 12년 8개월째 유지하고 있어서다. 인플레이션에 금리 인상으로 대처하는 다른 주요국들과는 대조적이다. 일본은행은 16일에도 단기금리를 -0.1%로 동결하고,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금리를 0% 정도로 유도하는 금융완화정책을 유지했다.
일본은 ‘잃어버린 30년’으로 요약되는 국가적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 산업 부흥에 사활을 걸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6일 ‘새로운 자본주의’라는 정책 발표를 통해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산업, 데이터센터 등 4개 전략 분야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다짐했다. 아마리 아키라 일본 반도체전략추진의원연맹 회장은 최근 “일본은 물러서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경제 회복에 사즉생의 자세로 임하는 범국가적 결의를 읽게 한다. 완화적 통화정책 또한 이런 기조의 일환이다.
실제 일본은 자국에 투자하는 반도체 기업에 지원금을 살포하고 있다. 미중 갈등 심화의 틈바구니에서 반사이익을 챙기는 전략도 구사한다. 엔저는 외환시장의 자연스러운 현상과는 거리가 있다. 일본이 국가 차원에서 인위적으로 추동하는 일종의 고육지책이다.
일본의 인위적 책략이 궁극적으로 통할지는 현재로선 알 길이 없다. 대신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엔저가 우리나라에도 도전적 과제를 안겨준다는 사실이다. 다른 무엇보다 과거 원·엔 환율이 가파르게 하강할 때 한국 경제는 좋았던 적이 별로 없다는 역사적 경험을 되새겨야 한다. 무역·경상수지 적자가 나기 일쑤였고, 심지어 외환위기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고 믿을 이유도 없고, 믿을 필요도 없다.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면밀히 대비해야 한다. 특히 우리 수출 경쟁력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여행수지 적자가 급속도로 심화할 수도 있다. 최근 부쩍 관심을 끄는 ‘엔 테크’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개인 투자자들은 시장 물결이 언제라도 출렁거릴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면서 위험 회피에 신경을 써야 한다. 원화 가치가 높아졌다고 휘파람을 불 계제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