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카자흐스탄에서 희망 캔다

입력 2009-05-14 09: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원개발ㆍ인프라 구축 참여키로

경제계가 중앙아시아의 자원부국 카자흐스탄의 자원개발과 인프라 시장 개척에 나섰다.

조석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등 이명박 대통령 카자흐스탄 수행 경제사절단은 5월 12일과 13일 이틀 동안 카자흐스탄측의 이러닝(e-learning) 구축, 오일탱커 건조, 조선소․철도 건설과 일반건설 사업에 참여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대통령 수행 경제사절단은 13일 카자흐스탄의 행정수도 아스타나 래디슨 사스 호텔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카림 마시모프 카자흐스탄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한-카자흐스탄 신성장 비즈니스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한국 측의 조석래 전경련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등 경제사절단과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 대표 100여명, 카자흐스탄의 정부․경제계 고위 인사 100여명 등 약 200여명이 참석했다.

조석래 전경련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카자흐스탄의 성장잠재력과 한국의 기술과 경험을 접목시킬 것”을 제안하며 “양국간의 협력을 기존의 자원․에너지 분야에서 통신, 플랜트, 전력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또 카자흐스탄의 자원개발 플랜트와 같은 국가인프라 확충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의 참여 폭을 확대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번 포럼에서 발표자로 나선 김쌍수 한국전력 사장, 하영봉 LG상사 사장, 김신배 SK C&C 부회장, 노영돈 현대종합상사 사장은 그 간의 카자흐스탄 투자 성공사례를 발표하며, 축적된 한국기업의 핵심역량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카자흐스탄 경제발전에 기여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마가우오프 티무르 카자흐스탄 투자위원회 위원장 등 카자흐스탄측 발표자들은 자국의 각종 인프라 개발계획과 에너지 분야 등의 투자환경을 설명하고, 한국기업이 투자를 확대해 줄 것을 요청했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중앙아시아 신흥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기업들이 이번 이명박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방문을 계기로 카자흐스탄 정부가 발주하는 각종 공공 인프라 개발사업에 진출하기가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현재 카자흐스탄 경제계가 한국 기업에 석유․가스 등 자원 탐사 플랜트 건설이나 주택․도로 등 인프라 건설, 금융산업 진출 확대 등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향후 해당 분야에서 더 많은 한국기업이 카자흐스탄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종합] 바이든 vs트럼프 ‘TV토론 진흙탕 싸움’…주요 쟁점은?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197,000
    • +0.78%
    • 이더리움
    • 4,830,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549,000
    • +4.87%
    • 리플
    • 667
    • +1.52%
    • 솔라나
    • 202,800
    • +6.29%
    • 에이다
    • 544
    • +1.87%
    • 이오스
    • 820
    • +2.5%
    • 트론
    • 171
    • -1.16%
    • 스텔라루멘
    • 129
    • +2.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00
    • +3.34%
    • 체인링크
    • 19,950
    • +4.01%
    • 샌드박스
    • 472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