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환능력 충분한데 신용점수 낮은 '씬 파일러'…핀다에서 원하는 만큼 대출받았다

입력 2023-08-22 09: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출 중개·관리 핀테크 기업 핀다가 실제 사용자들의 후기를 토대로 '핀다에서만 승인해준' 대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기존 금융권 창구 또는 타 플랫폼에서 대출 거절 경험이 있던 사용자들이 핀다에서는 원하는 대로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핀다는 국내 최다인 68개 금융사와 제휴하고 개인 맞춤형 대출 비교 서비스를 제공한다. 핀다는 사용자들의 후기 중 '다른 곳에서 거절됐는데, 핀다에서만 승인이 됐다'는 내용을 선별해 해당 사용자들의 대출과 신용 패턴 등을 분석했다.

올해 1월 1일부터 8월 11일까지 '핀다에서만 대출을 받았다'고 후기를 남긴 406명은 원하는 만큼의 대출금액을 실제로 받았다. 이들은 평균 2631만 원의 대출금을 희망한다고 입력했고, 실제로 평균 2630만 원의 대출이 실행됐다.

핀다에서만 대출을 받은 사용자들은 평균 3.09개의 대출을 보유한 다중채무자들로, 이들의 평균 연소득은 4568만 원으로 2021년 직장인 평균 연소득 4024만 원보다 약 544만 원 높았다. 여러 개의 채무를 보유한 영향으로 평균 신용점수는 709점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직업군은 대개 직장인이었지만, 프리랜서와 주부 등 '씬 파일러(Thin Filer)'도 전체의 12.8%에 달했다. 준수한 소득 수준에 비해 신용점수가 낮고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한 씬 파일러들은 유리한 대출 조건을 찾기가 어려운데 핀다에서만큼은 좋은 조건의 대출상품을 찾았던 것이다.

이들의 승인 조건은 평균 금리 14.5%, 평균 한도 2271만 원이었지만, 최종 실행 조건은 평균 금리 11.6%, 평균 한도 2630만 원이었다.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는 "기존 금융권 창구나 다른 플랫폼에서 거절당했거나 좋지 않은 조건으로 대출을 받은 사용자분들이 핀다에서는 유리한 조건을 찾는다"며 "충분한 상환능력이 있지만 금융이력이 부족해 좋은 조건으로 대출을 받지 못하는 고객들이 불합리한 선택을 하지 않도록, 제휴 금융사들과 상품의 폭을 넓히고 대안신용평가모델(ACSS) 개발을 통해 금융사와 고객의 비대면 연결 통로가 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기도 품절이라고요?"…Z세대 '뷰티 방앗간' 된 다이소, 다음 대란템은? [솔드아웃]
  • ‘슈팅스타’ 오늘 첫 방송…‘큰 산’ 최강야구 넘을까? [해시태그]
  • 우리은행장 교체 수순…차기 행장 후보 내주 윤곽 나올 듯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게임 후보 6선…각 작품 경쟁력은? [딥인더게임]
  • "동덕여대 손해배상 상대 특정 어려워…소송 쉽지 않을 것"
  • 트럼프 등에 업은 머스크, 베이조스 겨냥…“그는 트럼프 패배 원했다”
  • 이재명, 또 입단속…“거친 언행 주의해달라”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755,000
    • -0.12%
    • 이더리움
    • 4,667,000
    • +0.54%
    • 비트코인 캐시
    • 682,000
    • -5.74%
    • 리플
    • 2,081
    • +32.55%
    • 솔라나
    • 361,400
    • +5.24%
    • 에이다
    • 1,277
    • +13.92%
    • 이오스
    • 995
    • +7.22%
    • 트론
    • 280
    • -0.71%
    • 스텔라루멘
    • 423
    • +26.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000
    • -7.75%
    • 체인링크
    • 21,470
    • +1.42%
    • 샌드박스
    • 499
    • +1.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