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때 읽는 AI 트렌드③] “디지털 주권 사수하라”…세계는 인공지능 패권 경쟁

입력 2023-09-30 05:00 수정 2023-09-30 09: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의 등장으로 전 세계가 AI 패권 경쟁에 한창이다. 특히 AI 주권이 경제·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글로벌 빅테크들도 앞다퉈 막대한 자본을 투자해 AI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AI 시장 규모는 2022년 4280억 달러(약 573조 원)에서 2030년에는 2조 251억달러(약 2713조 원) 규모로 연평균 21.6%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인공지능이 새로운 산업 게임 체인저로 급부상하면서 빅테크들의 AI 패권 싸움이 가속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해외 기업들의 공세가 남다르다. 앞서 구글은 지난 5월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팜 2(PaLM)’를 탑재한 AI 챗봇 ‘바드(Bard)’를 공개했다. 선다 피차이 구글 CEO는 영어에 이어 두 번째 지원 언어를 한국어로 내세울 정도로 국내시장 공략에 강한 의지를 천명했다.

이에 국내 주요 기업들도 잇달아 국산 AI 모델을 공개하며 수성전에 돌입하는 모양새다. 앞서 7월 LG AI 연구원은 초거대 AI '엑사원 2.0'을 공개하며 토종 AI 모델의 포문을 열었다. 지난달에는 네이버가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며 각축전에 뛰어들었다. 한국어에 최적화한 국산 생성형 AI를 내세운 네이버는 챗 GPT보다 큰 매개변수(파라미터) 사이즈에 6500배 많은 한국어를 학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KT는 올 3분기 자체 초거대 AI 모델 '믿음'을 공개하고 상용화 추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KT는 AI 인프라에서 응용 서비스 영역을 아우르는 ‘AI 풀스택’ 전략을 추진, 국내 최고 생성형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에 100억 원 규모의 전략 투자를 단행하는 등 우군 확보에도 분주하다.

AI는 향후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국가전략산업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공개되는 대부분의 서비스가 내수에 치중되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협소한 국내시장 만으로는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고, 미국, 중국 등 AI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IDC가 최근 발간한 '국내 인공지능 분석 시장 전망, 2023-2027'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AI 시장 규모는 2조 6000억 원이다. 보고서는 2027년까지 4조4636억 원 규모로 성장을 예상했지만, 여전히 글로벌 시장 규모에 비하면 100분의 1 수준이다. 산업의 근간인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제한적이다. 기술 전문매체 비주얼캐피털리스트가 발표한 국가별 AI 스타트업 투자 규모 에서 한국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이에 ‘K-AI’의 본격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 주권에 도전하고 파이를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하이퍼클로바X를 전격 발표하며 토종 초거대 AI 잰걸음을 뗀 네이버는 한국은 주요 공략 시장의 일환이라며 향후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토종 AI 스타트업들의 행보도 주목받고 있다. 업스테이지는 최근 자사의 LLM 모델 ‘SOLAR (Specialized and Optimized Llm and Applications with Reliability)’가 글로벌 생성 AI 활용 플랫폼 ‘Poe’에 메인 모델로 등록, 빅테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쾌거를 이뤘다. 업스테이지는 챗GPT를 뛰어넘은 자사의 허깅페이스 1위 모델을 기반으로 솔라를 개발했다.

스캐터랩도 기업을 대상으로 ‘소셜 AI 구축 솔루션’을 제공하며 B2B(기업간거래) 사업에 나선다. 스캐터랩은 AI 챗봇 ‘이루다’의 성공 노하우를 집약해 파트너사를 상대로 소셜 인터랙션에 특화된 생성형 AI 도입 전 과정 컨설팅 및 운영 서비스를 전개해 기업들의 AI 전환을 적극 돕는다는 방침이다.

AI 업계 관계자는 “한국이 주요 선진국과의 주도권 싸움에서 밀리지 않고 경쟁 우위를 달성하려면 더 큰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이 필수적인 상황”이라며 “우리 기업들의 진취적인 도전이 요구되는 때”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원 게시판 논란'에 연일 파열음…與 균열 심화
  • 코스닥·나스닥, 20년간 시총 증가율 비슷했지만…지수 상승률은 ‘딴판’
  • 李 열흘만에 또 사법 리스크…두 번째 고비 넘길까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유럽 최대 배터리사 파산 신청에…골드만삭스 9억 달러 날렸다
  •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서 “한반도 노동자,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서 노동”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080,000
    • -0.82%
    • 이더리움
    • 4,630,000
    • -1.87%
    • 비트코인 캐시
    • 692,000
    • -6.11%
    • 리플
    • 1,916
    • -10.51%
    • 솔라나
    • 343,500
    • -3.81%
    • 에이다
    • 1,397
    • -7.42%
    • 이오스
    • 1,157
    • +7.13%
    • 트론
    • 286
    • -5.92%
    • 스텔라루멘
    • 746
    • +2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850
    • -6.62%
    • 체인링크
    • 23,280
    • -2.39%
    • 샌드박스
    • 822
    • +45.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