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불자가 뭐예요?" '돈맹' 사회초년생, 빚 갚느라 빛 못본다 [금융 문맹률 낮추자①]

입력 2023-10-16 05:00 수정 2023-10-16 08: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3-10-15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금융문맹(financial illiteracy)’. 금융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사람을 글자를 모르는 문맹에 빗댄 말이다. 2023년 현재 국내 금융 소비자 대다수는 금융문맹 상태다. 금융 지식이 생존의 필수 요소라는 것은 십 수년 전부터 수없이 강조돼 왔다. 저축은행 후순위 사태, 신용카드 대란, 라임 펀드 등 대규모 소비자 피해로 필요성을 직접 체험했다. 하지만 금융에 대한 기초 지식조차 없거나 수준이 낮은 ‘돈맹(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함)’ 상태는 여전히 세대 이전되고 있다. 이들이 자칫 신용불량자로 전락할 경우 국가 경제에 큰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본지는 한국 금융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짚고 금융당국과 금융기관의 노력을 소개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기획 시리즈를 싣는다.

'돈치' 2030, 부동산 가상자산 등 묻지마 투자
금융 지식 무지해 쉽게 돈 벌리고 신용불량자 전락 일쑤
범죄 휘말리거나 금융사기 피해자되기도
학교 중심 금융공교육 시행 급선무

133조8093억 원. 올해 7월 기준 지난 1년 간 2030세대가 5대 은행과 6대 증권사에 낸 빚이다. 이 중 83조9492억 원은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했고 ‘빚투(빚내서 투자)’로 49조8599억 원을 썼다. 1980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태어난 MZ세대가 금융권에서 최대한 돈을 ‘땡겨’ 부동산·주식, 가상자산 등에 ‘묻지마 투자’한 영향이다. 남들 투자할 때 나만 빠지면 도태된다는 ‘벼락거지’ 두려움과 금융에 대한 무지가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모바일로 손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됐지만 금리가 오르고 이자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이들의 미래는 ‘해피엔딩’이 아닌 ‘지옥’의 불구덩이로 빠질 가능성이 커졌다.

만약 이들이 어릴 때 부터 금융에 대한 조기교육을 받았다면 무작정 돈을 빌려 ‘일확천금’을 꿈꾸거나 금융사기에 넘어가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조기 금융교육은 소득양극화와도 상관관계가 있는 만큼 학교를 중심으로 한 금융 공교육 체제가 마련되야 한다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7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및 6대 증권사(한국투자·미래에셋·삼성·NH투자·키움·메리츠증권)로부터 2030 청년층이 받은 대출 규모는 전체(476조938억 원)의 28.1%에 달했다.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금융 2030 청년 금융을 말하다’ 토론회 참석자들이 촬영을 하고 있다.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금융 2030 청년 금융을 말하다’ 토론회 참석자들이 촬영을 하고 있다.

꼬리를 무는 빚에 원리금도 제 때 갚지 못하는 청년들도 급증했다. 지난해 말 3524억 원 이었던 이들의 연체 잔액은 올해 7월 4940억 원으로 7개월 새 1416억 원이 늘었다.

자발적으로 돈을 빌리는 사람이 아닌 자신도 모르게 금융사기에 빠지는 경우는 더욱 뼈아프다.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된 전세사기 피해자도 10명 중 7명이 2030세대였다. 청년층은 물론 은퇴세대, 금융 취약계층인 노인층을 타깃으로 한 불법 금융 피해사례도 여전히 횡행하고 있다. 사채, 보이스피싱, 다단계 대출사기 등 수법도 갈수록 교묘하게 진화 중이다.

이처럼 청년층의 빚 급증과 계획적이지 못한 투자, 금융 사기에 쉽게 현혹되는 것은 유년기, 청소년기에 걸쳐 제대로 된 금융교육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데 힘이 실린다.

수없이 반복되는 대형 금융 사고 피해로 ‘금융 리터러시(literacy·이해력)’와 이용자의 의식 전환이 금융 시스템 개혁의 핵심 과제라는 인식이 자리잡으면서 금융당국과 각 금융사들은 금융 교육, 아카데미 등을 열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금융 공교육 체계가 마련돼 시스템으로 정착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올바른 금융 습관은 자연히 얻어지는 것이 아닌 꾸준한 학습을 통해 기르는 것”이라며 “금융정보를 제대로 알고 판단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우리의 필수적인 과제”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불황에 날개 단 SPA 패션…탑텐·유니클로 ‘1조 클럽’ 예약
  • 치솟는 환율에 수입물가 불안...소비자물가 다시 뛰나
  • '잘하는 것 잘하는' 건설업계…노후 주거환경 개선 앞장
  • SK온, ‘국내 생산’ 수산화리튬 수급…원소재 경쟁력 강화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위해제품 속출' 해외직구…소비자 주의사항은?
  • “한국서 느끼는 유럽 정취” 롯데 초대형 크리스마스마켓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401,000
    • +0.11%
    • 이더리움
    • 4,742,000
    • +2.66%
    • 비트코인 캐시
    • 715,500
    • -3.38%
    • 리플
    • 2,016
    • -5%
    • 솔라나
    • 354,700
    • -1%
    • 에이다
    • 1,467
    • -2%
    • 이오스
    • 1,168
    • +9.98%
    • 트론
    • 299
    • +3.46%
    • 스텔라루멘
    • 772
    • +29.1%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0,000
    • -0.5%
    • 체인링크
    • 24,500
    • +5.2%
    • 샌드박스
    • 811
    • +48.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