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이었던 최근 몇 년 사이 자금조달과 관련해 변동성을 크게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자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채권, 주식 등 자본시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5일 ‘민간기업 자금조달 여건과 자본시장 발전을 위한 개선과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자금순환 통계를 상반기 기준으로 분석한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민간기업(비금융기업 중 공기업 제외)이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지난해 상반기 시장에서 조달받은 자금은 약 285조 원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 약 217조 원 증가했다. 3년 만에 4.2배 증가했던 자금조달 규모는 불과 1년 만인 올해 상반기 81조 원으로 약 205조 원 감소하며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대한상의는 “올 상반기 기업이 조달받은 자금은 총액으로만 따지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으로 보이지만, 서서히 내려온 것이 아니라 불과 1년 만에 경착륙하면서 기업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자금시장 변동성의 확대는 기업경영의 불확실성을 키워 기업활동을 위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의 자금조달 변동성을 키운 것은 금융기관 차입액의 변화가 주효했다. 은행 대출 등 금융기관 차입액은 2019년 상반기 57조 원에서 지난해 상반기 약 121조 원까지 늘어났다가 1년 후인 올해 상반기 37조 원으로 줄었다.
반면 주식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은 2019년 상반기 약 14조 원에서 지난해 상반기에 27조 원까지 늘어났다가 1년 만에 13조 원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회사채 발행은 12조 원에서 2조 원, -2조 원으로 각각 줄었다.
대한상의는 기업 자금조달의 대규모 축소에 대한 원인을 우리나라 직접금융 시장의 취약성에서 찾았다. 코로나를 거치면서 기업의 금융기관 차입금 의존도는 더 커졌고 주식, 채권 등 직접금융시장으로부터 자금조달은 줄었다. 문제는 간접금융시장(금융기관 차입금+정부융자)은 직접금융시장(회사채+주식)에 비해 금리 인상 등 외부 충격으로부터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회사채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들도 자금조달에 애로를 겪어 은행 대출창구에 몰렸다. 여기에 기준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이자부담 비중은 지난해 2분기 1%대 미만에서 올해 2분기 1.5% 수준으로 올랐다.
상의는 자본시장이 실물경제를 뒷받침하고 기업에 안정적인 자금의 공급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 규제 완화 △연기금의 공공성 확대 △시장안정화기구 준칙화 △지속가능연계채권(SLB) 인센티브 강화 등을 제안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기업이 경영전략을 세밀하게 수립하려면 기업자금이 안정적으로 보급돼야 한다”며 “기업이 시장을 통해 적기에 자금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자본시장의 성장 기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