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소셜벤처기업이 2448개로 집계됐다. 이들 중 68%는 장애인·고령자 등 취약계층을 고용했으며 평균 매출은 28억 원이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2년 기준 소셜벤처기업으로 판별된 2448개사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1856개사에 대해 분석한 ‘2022년 소셜벤처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중기부는 혁신기업의 사회적 가치실현과 소셜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2019년부터 소셜벤처 판별·가치측정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태조사를 수행해 오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2022년 소셜벤처기업 수는 전년 대비 12.1%(264개사)가 증가한 2448개사로, 지역별로는 수도권(44.4%)이 가장 높았으며, 영남권(21.5%), 호남권(14.5%), 충청권(13.9%), 강원·제주(5.7%)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평균 업력은 7.8년이며, 업력 7년 이내 창업기업이 50% 이상으로 벤처기업(10.6년) 등 타 기업군보다 젊은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 제조업(37.8%)이 가장 많고, 정보통신업(14.7%), 도매 및 소매업(9.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9%) 순이었다.
소셜벤처기업들은 2022년 한 해 동안 평균 21.6명을 고용했고 이 중 정규직 수가 평균 19.3명, 비정규직 수는 평균 2.3명으로 나타나 정규직 채용(89.5%)이 활발했다. 또한, 장애인·고령자 등 취약계층을 고용한 소셜벤처기업 비율은 69.0%로 평균 11.5명의 취약계층을 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55세 이상 고령자’ 고용인원이 평균 8.0명, ‘장애인’은 평균 1.9명으로 조사돼 일자리 관련 사회문제에 소셜벤처기업이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중기부는 판단했다.
소셜벤처기업의 작년 평균 매출액은 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4억5000만 원이 증가해 사회적 기여와 더불어 재무적으로도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소셜벤처기업들의 R&D 조직·인력 보유 비율도 62.7%로, 기업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혁신 성장성 측면에서 R&D 조직을 갖추는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R&D 조직은 기업부설연구소 38.2%, 연구개발전담부서 14.8%, 기술인력 9.6%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