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아프간 철수’ 공방…4성 장군들 민주당 해리스 지지

입력 2024-09-09 21: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민주당 대통령 선거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4일(현지시간) 뉴햄프셔주 노스햄프턴 유세에서 연설하면서 웃고 있다.  (노스햄프턴(미국)/AFP연합뉴스)
▲미국 민주당 대통령 선거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4일(현지시간) 뉴햄프셔주 노스햄프턴 유세에서 연설하면서 웃고 있다. (노스햄프턴(미국)/AFP연합뉴스)

미국 공화당이 2021년 미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후폭풍을 재차 문제 삼아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겨냥한 정치 공세를 시도하자 전·현직 고위 장교들이 해리스 편들기에 나섰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공화당 조지 W.부시 전 대통령 행정부에서 국토안보 부보좌관을 지냈던 스티브 애벗 장군을 비롯해 4성급 장군 3명을 포함한 전·현직 장교 10여 명이 이날 '미국을 위한 국가 안보 리더들'이라는 이름으로 낸 성명에서 “아프가니스탄 내 미군 철수 과정에서 빚어진 혼란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책임”이라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임기 마지막 해인 2020년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개입 없이 탈레반과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면서 이로 인해 이듬해 취임한 바이든 행정부가 적절한 철군 계획을 수립할 시간을 갖지 못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탈레반과 평화협정을 체결하면서 탈레반의 테러 공격 중단을 전제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을 철수하기로 했는데, 이 협정이 탈레반 재집권의 길을 닦아주며 결과적으로 미군 철수에 따른 후폭풍을 불러왔다는 것이다.

이들은 “(트럼프의) 이러한 혼란스러운 접근 방식은 바이든-해리스 행정부가 가능한 가장 질서 있는 철군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심각하게 방해했으며, 우리 군인과 동맹국을 위험에 빠트렸다”라고 비판했다.

이날 성명에 이름을 올린 장교 중 일부는 이번 주 중 TV에도 출연해 이 사안에 대해 해리스 부통령을 변호할 계획이라고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 두 명이 악시오스에 밝혔다.

한편 이날 성명은 공화당이 아프간 철군과 관련해 해리스 부통령의 책임론을 함께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백악관은 바이든 행정부의 아프가니스탄 철군 결정을 옹호하는 한편 철군 과정에서 일부 준비가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는 입장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대통령 "불미스러운 유혈사태 막기 위해 공수처 출석 응하기로"
  • [전문] 尹대통령 "불미스러운 유혈사태 막기 위해 공수처 출석 응하기로"
  • ‘로봇-인간’ 경계 허물어진다…저출산ㆍ고령화 '게임체인저' [휴머노이드 시대의 서막]
  • “급브레이크 안돼요”…도로위 암살자 ‘블랙아이스’ 대처법 [해시태그]
  • "타임머신 탄 건가요?"…음악도 예능도, '옛것'에 빠진 '요즘 것들' [이슈크래커]
  • “픽업트럭 나가신다” 불모지 韓서도 인기차 등극할까 [모빌리티]
  • 경기 의정부 용현산업단지 화재 발생…안전재난문자 발송
  • 셋 중 둘은 뒷걸음…건설업계 우울한 실적 전망
  • 오늘의 상승종목

  • 01.15 13:2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397,000
    • +1.53%
    • 이더리움
    • 4,793,000
    • +1.14%
    • 비트코인 캐시
    • 654,000
    • +1.32%
    • 리플
    • 4,179
    • +10%
    • 솔라나
    • 280,500
    • +1.3%
    • 에이다
    • 1,515
    • +5.94%
    • 이오스
    • 1,195
    • +3.37%
    • 트론
    • 330
    • -1.49%
    • 스텔라루멘
    • 685
    • +8.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1,000
    • +0.37%
    • 체인링크
    • 30,220
    • +2.96%
    • 샌드박스
    • 846
    • +0.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