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투데이] 코스피, 미국발 악재 불구 개인 매수세로 1430선 사수

입력 2009-07-08 15: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증시 전문가 "실적 확인 심리 우선...조정시 매수 전략 유효"

코스피지수가 미국발 악재에도 불구하고 개인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1430선을 지켜냈다.

8일 코스피지수는 전날 보다 3.18포인트(-0.22%) 떨어진 1431.02를 기록하며 나흘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날 새벽 미 증시가 기업실적 악화 우려로 급락마감했다. 이에 따라 국내 증시 역시 미국발 악재로 인해 하락출발하며 1420선까지 내려 앉았다.

여기에 그동안 매수세를 보이던 외국인들이 현물과 선물시장에서 매도세로 돌아서며 투자심리를 더욱 위축시켰다.

그러나 IT 관련주들이 선방한 가운데 개인들이 건설과 철강 등 그동안 소외됐던 업종 위주로 매수하며 지수하락폭을 축소시켰다.

코스피시장에서는 개인이 2104억원 사들이며 지수방어에 나선 반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977억원, 177억원 팔아치우며 차익실현에 나섰다.

코스닥시장 역시 개인이 역투했으나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순매도를 보임에 따라 하락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 보다 3.07포인트(-0.60%) 떨어진 505.69로 마감됐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이 446억원 사들인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6억원, 243억원 순매도했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국내외 증시가 하락세를 보임에 따라 소폭 상승마감됐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 보다 3원 오른 1276.1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LIG투자증권 서정광 투자전략팀장은 "최근 들어 1조6000억원 이상 팔던 개인들이 매수세에 가담하면서 시장이 생각보다 강한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그는 "외국인들이 10일만에 순매도로 돌아선 가운데 삼성전자의 실적 모멘텀이 이미 시장에 반영되면서 추가적인 상승 패턴이 나오기는 힘들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서 팀장은 "코스피가 1450 구간에서 IT 실적 모멘텀에도 불구하고 고점에 막혀 있다"며 "이는 지금까지 시장을 이끌어 왔던 실적 기대감을 확인하자는 심리가 앞서고 있다는데서 비롯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단기적으로 투자심리 과열 국면에서 적극적인 매수 보다는 저가 매수를 통해 천천히 시장에 참여하는 것이 현명한 전략이 될 것이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통비 또 오른다?…빠듯한 주머니 채울 절약 팁 정리 [경제한줌]
  • 기본으로 돌아간 삼성전자…'기술-품질' 초격차 영광 찾는다
  • "비트코인 살 걸, 운동할 걸"…올해 가장 많이 한 후회는 [데이터클립]
  • 베일 벗은 선도지구에 주민 희비 갈렸다…추가 분담금·낮은 용적률이 ‘복병’[1기 선도지구]
  • [2024마켓리더대상] 위기 속 ‘투자 나침반’ 역할…다양한 부의 증식 기회 제공
  • 재산 갈등이 소송전으로 비화…남보다 못한 가족들 [서초동 MSG]
  • “117년 만에 폭설도 못 막지”…올림픽파크포레온 1.2만 가구 입주장 개막에 '후끈' [르포]
  • 목소리 높이는 소액주주…상법개정안 가속 페달 달까
  • 오늘의 상승종목

  • 11.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0,778,000
    • -0.11%
    • 이더리움
    • 4,781,000
    • +0.86%
    • 비트코인 캐시
    • 705,000
    • +1.95%
    • 리플
    • 1,975
    • -1%
    • 솔라나
    • 327,900
    • -0.46%
    • 에이다
    • 1,377
    • +2.68%
    • 이오스
    • 1,117
    • -2.95%
    • 트론
    • 279
    • +0.72%
    • 스텔라루멘
    • 666
    • +2.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650
    • -0.43%
    • 체인링크
    • 25,300
    • +4.94%
    • 샌드박스
    • 866
    • -3.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