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행정법원 행정12부(재판장 강재원 부장판사)는 원고 A 씨가 한국산업인력공단을 상대로 제기한 불합격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
A 씨는 2022년 행정사 시험에 응시해 시험 합격 점수인 평균 52.25점을 넘겼지만, 행정사실무법 과목에서 과락 점수인 40점에 미달한 37점을 받아 불합격했다.
A 씨는 이후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불합격 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감사원으로부터 2021년에 시행한 세무사 자격시험에 관련해 ‘출제 부실’, ‘채점 부실’ 등의 감사 결과를 받은 점을 이유로 들었다.
관련 뉴스
한국산업인력공단이 2022년 세무사 시험부터 채점리포팅제를 도입하는 등 감사 결과에 따른 보완책을 내놨는데, 이 같은 내용이 자신이 응시한 행정사 시험에는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채점 리포팅제는 채점 물량의 10%를 먼저 채점한 후 오류나 특이사항이 있는 경우 채점을 보완하는 점검체계다.
A 씨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고용노동부로부터 2023년에 시행한 정기 기사ㆍ산업기사 실기시험과 관련해 ‘답안지 채점 전 파쇄’ 등의 문제를 지적받은 점도 이번 소송 제기의 근거로 들었다. 고용노동부 감사 과정에서 역시 채점리포팅제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는 것이다.
A 씨는 “감사결과에서 지적된 것처럼 채점리포팅제를 제대로 운영하지 않는 바람에 행정사실무법에 대한 채점이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자의적으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하면서 “이 때문에 행정사실무법 과목의 평균점수가 31.48점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고 해당 과목 응시자의 70%가 과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법원은 A 씨의 주장 받아들이지 않았다. A 씨가 과락한 행정실무사법 과목 채점 과정에 하자가 없었다고 봤다.
재판부는 “고용노동부 감사결과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하는 약 530여 개의 자격시험 운영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면서 “이것만으로 A 씨가 응시한 행정사 시험 채점에 하자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해당 시험에서 행정사실무법 과목 과락률이 70.35%로 지난 5년간의 평균 과락률인 31.39%와 비교할 때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은 인정된다”고 했다.
다만 “채점위원은 시험의 목적과 내용을 고려해 법령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전문적인 지식에 근거해 독자적 판단과 재량에 따라 답안을 채점할 수 있는 것”이라면서 “채점기준을 무시하고 자의적으로 채점을 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갈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