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씨에이치, 'AI 반도체용 단열 기능' 열제어 소재 상용화 속도…투자 확대

입력 2024-12-11 11: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성능 첨단 복합소재 전문기업 아이씨에이치가 신성장 동력으로 고기능성 열제어 소재(Heat Control Materials)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고 11일 밝혔다.

열제어 소재는 모바일 기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열, 단열 소재다.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온디바이스(On-device)화, 칩의 고집적화, 기기의 소형화로 발열 문제 해결이 핵심 화두로 부상하는 점을 고려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상용화의 첫 번째로 준비 중인 신소재는 AI 반도체용 특수 단열 소재다. AI 기능 확대에 따라 반도체의 방열뿐만 아니라 열을 차단하는 단열 소재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어 가파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아이씨에이치는 다년간의 폴리우레탄(PU) 폼 생산을 통해 단열 소재에 필수적인 다공성 구조의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신규 개발 중인 열전도도가 낮은 새로운 소재를 추가해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하고 기존 생산 라인을 활용해 가격 경쟁력도 높일 계획이다.

스마트폰 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방열을 위해 사용되는 베이퍼 챔버(Vapor Chamber)의 메탈 메쉬(Metal mesh)를 대체하는 신소재도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직물 원단에 도금 또는 표면 처리를 통해 메탈 메쉬 수준의 열 분산성을 갖추면서 기존 두께의 절반인 30미크론(㎛) 이하로 줄인 새로운 소재다. 고가의 금속 와이어 대신 직물을 활용하는 도금 라인이 구축돼 원가 경쟁력도 높다.

회사 관계자는 "AI 반도체의 온디바이스화로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기능성 단열, 방열 소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며 "신소재의 고성능과 함께 핵심공정 내재화를 통한 가격 경쟁력으로 기존 소재들을 빠르게 대체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력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를 중심으로 열 관리 필요성이 커지는 신규 소재의 개발 및 상용화도 준비하고 있다”며 “내구성은 향상하고 열 폭주 및 화재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소재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145,000
    • +3.06%
    • 이더리움
    • 2,795,000
    • +4.92%
    • 비트코인 캐시
    • 467,400
    • +7.99%
    • 리플
    • 3,244
    • +5.77%
    • 솔라나
    • 191,600
    • +4.02%
    • 에이다
    • 1,011
    • +6.42%
    • 이오스
    • 1,015
    • +13.53%
    • 트론
    • 348
    • +0.58%
    • 스텔라루멘
    • 407
    • +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400
    • +5.84%
    • 체인링크
    • 20,770
    • +6.79%
    • 샌드박스
    • 415
    • +5.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