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내년 대외환경 불확실성 대응을 위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수출지원 사업 예산을 올해보다 45% 증액한 6200억 원을 투입기로 했다. 트럼프 2.0 대응 수출국 다변화 및 해외 진출 지원, 제품 중심의 수출지원체계를 테크서비스로 확장, 소상공인의 수출 기업화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23일 이러한 내용의 ‘2025년 중소기업 수출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2025년 중소기업 수출지원사업은 총 12개 사업이다. 중소기업(소상공인 포함) 지원사업 9개와 소상공인 특화 지원사업 3개로 나뉜다.
중기부는 고환율과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등 대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수출지원 예산을 확대했다. 특히 신시장진출지원자금과 수출바우처 규모를 확대해 사업 전체 예산은 지난해 4272억 원 대비 1924억 원(45%) 증액한 6196억 원을 편성했다.
중기부는 수출지원체계를 기존 ‘제품’ 중심에서 ‘테크 서비스’로 확장한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테크 서비스 수출기업의 정책 수요를 반영한 테크서비스 수출 바우처가 140억 원 규모로 신설된다. 또 중소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지원정책 중 하나인 전시회 참여 지원도 내년에는 글로벌 전자·IT 전시회 등 테크 서비스 관련 전시회 참여 지원을 6회에서 10회 내외로 확대한다.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과 관련해 수출 환경에 다양한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수출국 다변화 및 해외 진출 지원을 강화한다. 우선 수출국 다변화 성공기업에 대해 수출바우처 한도를 상향(20%) 지원하는 인센티브 제도를 지속 운영하고 적용 물량도 확대한다. 또 수출바우처 수행기관을 통해서 해외 진출 과정에 필요한 서비스를 일괄 지원하고 중소기업 해외 진출 거점인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도 내년 1개소를 추가 개소한다.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에 따라 수출 규제가 2019년 3766건에서 2024년 7571건으로 급증하는 만큼 이에 대응해 간이심사를 통해 지원절차를 단축하는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의 ‘패스트트랙’ 대상 인증을 추가하고, 기업당 인증지원 신청 건수 상한 소액인증은 확대적용한다. 아울러 수출규제 애로를 수시 상담하는 전담대응반 인력과 주요 상담 인증 분야를 확대한다.
관계부처의 소관 특화분야 전문성을 활용해 수출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고 연구개발(R&D), 창업 정책과 수출정책도 연계한다.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인 화장품의 수출 가속화를 위해 K뷰티 국제박람회를 민·관 협업으로 개최한다. 이밖에 확대 추세에 있는 소상공인 수출기업도 적극 육성한다. 온라인 전문 셀러 등을 활용해 온라인 수출을 지원하고 수출 역량을 보유한 소상공인은 글로벌 쇼핑몰 입점을 지원한다.
중기부 최원영 글로벌성장정책관은 “내년 수출지원사업 통합공고 시기를 올해 보다 앞당겨 중소기업들에 수출자금이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