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출혈경쟁 재연 우려
AI 신사업 발굴에 사활 걸어
유료방송 가입자 수도 직격탄
케이블TV SO 지역규제도 심각
조직개편으로 '군살 빼기' 돌입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가 ‘인구위기·지역소멸’에 휘청이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신규 가입자 유치가 정체됐고, 지역 전문 채널의 수요 자체가 줄어든 탓이다. 이에 ICT 업계는 신사업 발굴, 조직 효율화 등으로 탈출구를 모색하고 있다.
23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이미 대다수 인구가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저출산·고령화로 신규 가입자 유치도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유·무선 통신 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10월 기준 휴대폰 가입자 수는 5696만5545명이다. 이는 9월 가입자 수 5697만6252명 대비 0.018% 감소한 수준이다. 국내 인구가 5175만1035명(통계청 기준)인 것을 고려하면, 이미 인구 1명당 휴대폰 1대 이상을 가입한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통3사 간 ‘출혈경쟁’도 막대한 비용 부담을 일으킨다. 특히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 10년 만에 폐지를 앞두고 있어 그 우려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애초 단통법은 단말기 가격 및 보조금 지급을 규제해 소비자 차별을 줄이는 것을 골자로 했다. 단통법 폐지로 통신3사의 공시 지원금과 보조금 상한도 없어지면서 ‘출혈경쟁’이 재현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이동통신사의 최대 위기는 다름 아닌 ‘고령화’”라며 “이통3사가 수익을 내려면 가입자를 더 늘려야 하는데 이미 포화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시니어 고객의 요금제가 더 싼데, 이들 규모가 늘어나면서 통신사 수익은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이는 SK텔레콤·KT·LG유플러스 이통3사가 인공지능(AI) 신사업에 사활을 거는 이유다. ‘돈 되는 AI 사업’으로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면서 AI를 활용해 시니어 고객을 위한 서비스도 고도화하고 있다.
유료방송업계는 지역소멸로 인한 ‘가입자 수 급감’하며 직격탄을 맞았다. 특히 지역 특화 미디어를 표방하던 케이블TV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의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KCTA)에 따르면, 케이블TV SO의 평균 영업손실률은 6.7%이다. 가장 상황이 어려운 사업자의 영업손실률은 20.8%에 달한다.
문제는 케이블TV SO는 여전히 지역 독점 사업자 규제에 막혀 있다는 점이다. SO는 공적 책무를 이행하기 위해 정부의 사업 허가를 받아야 하며, 허가 요건엔 자본금·시설 요건·방송 내용 등이 포함된다. 법무법인 세종의 이종관 수석전문위원은 “케이블TV SO는 허가 사업자다. 사전 조치부터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행위까지 전방위적인 규제를 적용받고 있다”며 “유료방송은 가입자 점유율을 3분의 1 이상 넘을 수 없다거나, 7년마다 재허가 심사를 받아야 한다거나 등. 규제가 너무 과중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유료방송업계는 조직 개편으로 ‘군살 빼기’에 돌입했다. LG헬로비전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50세 이상 또는 근속 10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했다. KT스카이라이프와 HCN도 구조조정을 시행했다. KT스카이라이프 관계자는 “역피라미드형 인적구조를 개선해 시장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