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문화누리카드 지원금 14만 원으로 인상…바둑·낚시 추가

입력 2025-01-31 09: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년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포스터 (문화체육관광부)
▲2025년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포스터 (문화체육관광부)

올해부터 사회적 약자들의 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통합문화이용권인 이른바 '문화누리카드'의 연간 지원금이 1만 원 인상돼 1인당 총 14만 원을 지원한다.

31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올해 문화누리카드 지원 사업에 총 3745억 원(국비 2636억 원, 지방비 1109억 원)이 투입됐다. 지난해 대비 지원 대상을 6만 명 늘려 총 264만 명에게 1인당 1만 원 인상된 금액인 14만 원을 지원한다.

문화누리카드는 전국 3만2000여 개의 문화예술, 국내 여행, 체육 분야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다. 올해부터는 결제 가능 분야에 바둑, 낚시를 새로 추가했다.

△영화 관람료 2500원 할인 △주요 서점 도서 구매 시 10% 할인 △4대 프로스포츠(배구, 농구, 축구, 야구) 관람료 최대 40% 할인 △공연∙전시 관람료, 악기 구입비, 숙박료, 놀이공원 입장권, 체육시설 이용료 및 스포츠용품 할인 등 다양한 혜택도 함께 제공한다.

문화예술단체가 기부한 입장권 나눔티켓(무료 또는 할인)도 1인당 4매까지(월 3회 한도) 사용할 수 있다.

저시력자와 시각장애인 이용자의 경우 점자 카드발급을 신청할 수 있다. 유효기간 만료일 한 달 전에 이용자에게 그 사실을 미리 알려주는 서비스를 시행한다.

카드 이용 한도가 부족할 경우 정부 지원금 외에 본인 충전금을 최대 30만 원(1년 200만 원 이내)까지 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간편결제서비스(NH 페이, 네이버 페이)에 문화누리카드 정보만 등록하면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실물 카드 없이 간편결제를 할 수 있다.

발급 기간은 내달 3일부터 11월 28일까지다. 전국 주민센터와 문화누리카드 누리집,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올해 발급받은 카드는 12월 31일까지 사용할 수 있다. 지난해 카드 이용자 중 수급 자격을 유지하는 경우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올해 지원금이 충전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흥행 돌풍' 예고한 K리그, 올해 400만 관중 돌파할까 [이슈크래커]
  • 가발 쓴 탈덕수용소ㆍ신상 털린 뻑가…'사이버 렉카', 몰락은 이제 시작? [이슈크래커]
  • 무시하지 말라던 ‘추성훈 아조씨’의 유튜브 떡상기 [요즘, 이거]
  • 기업들이 골프 마케팅하는 이유 [골프더보기]
  • 고물가에 싼 것만 찾는다…유통가 ‘초저가’ 전성시대[韓 과소소비사회 진입하나]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우크라 전쟁 발발 3년] 종전협상 ‘중대 분수령’...우크라 운명 어디로
  • 현대차 관세 위기에 떠오르는 ‘GM 동맹’…새로운 돌파구 될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962,000
    • -2.39%
    • 이더리움
    • 3,846,000
    • -6.01%
    • 비트코인 캐시
    • 443,000
    • -7.01%
    • 리플
    • 3,508
    • -5.42%
    • 솔라나
    • 218,700
    • -10.84%
    • 에이다
    • 1,041
    • -6.97%
    • 이오스
    • 857
    • -8.34%
    • 트론
    • 358
    • +0%
    • 스텔라루멘
    • 455
    • -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400
    • -8.03%
    • 체인링크
    • 23,420
    • -8.87%
    • 샌드박스
    • 468
    • -8.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