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연합)
여성가족부는 6일 정오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어온 중국 딥시크를 포함한 생성형 AI 전반에 대한 조치 차원이다.
교육부는 이날 오전 시·도교육청과 대학 등에 ‘AI 관련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송했다. 시도교육청도 앞서 국가정보원의 ‘생성형 AI 활용 관련 보안사항 준수’ 공문을 받고 대응에 들어갔다.
법조계도 예의주시 중이다. 법무부는 현재 생성형 AI(인공지능) 사용 시 개인정보 유출에 주의하라는 취지의 안내 공문을 전파한 상황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이날 오후 2시로부로 딥시크 관련 생성형 AI 사용이 차단 조치 됐다.
법원 관계자는 “법원 구성원에게 관련 접속을 자제하라고 할지는 검토 중”이라며 “차단 여부는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지자체도 딥시크 대응에 나섰다. 인천광역시 관계자는 “이날 오후부터 딥시크 관련 차단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딥시크 관련) 차단 검토 중”이라며 “차단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경기도 내 31개 지자체는 아직 딥시크를 차단한 곳은 없지만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만 경기도가 오후부터 딥시크 접속차단 조치에 나서 곧 조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