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의 ESG 경영은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reen Transformation) 2040·함께하는 성장·국내 거버넌스 리더’ 달성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롯데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40년까지 식품·유통·호텔법인에 속한 그룹사의 탄소 중립을, 2050년까지는 화학군의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2년 ‘탄소중립 로드맵 1.0’을 수립하고 2023년에는 ‘탄소중립 로드맵 2.0’으로 기존 로드맵을 업데이트했다.
탄소중립 로드맵 2.0은 2018년 대비 국내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을 2030년까지 22%, 2040년까지 61%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담고 있다. 특히 롯데는 6대 감축수단을 선정하고 그룹 친환경추진단을 구성해 탄소 중립 이행을 평가하고 있다. 이에 2023년에는 2022년에 이어 목표 대비 탄소 배출량을 9.3% 초과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환경 데이터 관련한 전반적인 업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롯데환경에너지통합서비스(LETS) 시스템도 운영 중이다. 작년 1월에는 그룹 ESG 표준지표의 환경 지표와 탄소중립 로드맵 등을 시스템에 반영하는 ‘LETS 시스템 고도화’도 진행했다.
관련 뉴스
아울러 롯데는 파트너사 해외 판로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2018년 태국에서 처음 열린 ‘롯데·대한민국 엑스포’에는 지난해까지 총 1300여 개 기업이 참여했다. 약 9000건의 수출 상담을 통해 누적 상담 실적은 약 9600억 원에 달한다. 또 작년 6월에는 처음으로 중남미 국가인 멕시코에서 ‘2024 롯데·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를 열었고 참가 기업 중 47개사는 현지에서 유통업체들과 1:1로 수출 상담회를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