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순위 과제는 민관협의체 구성…“문산법 도입 신중해야”
만화웹툰협회총연합 24일 15시 중소기업중앙회서 출범식

만화웹툰협회총연합(MAF)이 24일 출범한다. 그동안 각자도생해온 만화·웹툰 창작자와 기업, 학계, 평론가 등을 대변하는 협회·단체 8곳이 힘을 모아 웹툰업계 여러 현안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연합체를 꾸린 것이다.
MAF 회장을 맡게 된 서범강 한국웹툰산업협회 회장은 19일 본지와 만나 “MAF의 장점은 작가뿐만 학계, 평론가, 교수, 기업 등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집단이 모여 있다는 점”이라며 “웹툰업계에서 주요한 이슈로 꼽히는 웹툰·웹소설 표준식별체계(UCI)와 표준계약서 개정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MAF에는 △우리만화연대 △웹툰협회 △한국만화스토리협회 △한국만화웹툰평론가협회 △한국만화웹툰학회 △한국웹툰산업협회 △한국카툰협회 △대전만화연합 등 8개 협회가 참여했다.
서 회장은 1순위 과제로 민관협의체 구성을 꼽았다. 그는 “이전에는 협단체들이 정부와 기관에 의존하고 요청하는 형태였지만 이제는 산업 구성원들이 스스로 방향성을 제시하고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성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이어 “모두에게 필요한 정책임에도 합의가 안 돼서 실현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며 “종사자들이 공통으로 바라고 동의할 수 있는 사안들이 정책 우선순위로 반영되도록 공통된 의견을 전달하고 관철하기 위해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 뉴스
MAF는 창작자를 지원하고 산업 표준화를 주도해 웹툰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활성화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설정하고 공동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서 회장은 “정부가 올해부터 유통 효율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웹툰·웹소설 등 웹콘텐츠에 대해 UCI를 도입해 시범 운영 중”이라며 “UCI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도록 정부와 긴밀히 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표준계약서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열심히 개정 작업을 마무리했지만 이게 끝이 아니다”라며 “아직 수정, 보완해야 할 사안들이 많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놓치지 않고 협의를 통해 개정안에 반영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회에서 재추진 중인 문화산업공정유통법(문산법)에 대해서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불공정행위를 막고 창작자를 보호하기 위한 취지로 발의된 문산법은 웹툰업계에서 가장 관심을 보이지만 웹툰뿐만 아니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등 콘텐츠 산업 전반에 영향력을 미칠 법안이다. 문산법은 법 발의 과정에서 창작자에 대한 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문화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아 비판을 받고 있다.
서 회장은 “문산법 적용을 받게 될 콘텐츠산업계 중에서는 문산법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곳들도 많아서 놀랐다”며 “문산법 자체를 반대하기보다는 속전속결로 진행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이다. 대상자들이 충분히 법안에 대해 인지하고 우려를 해소해야 하는 게 선결돼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규제나 지원은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책 대상자들이 필요성이나 대상 범위, 당위성 등에 대해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MAF는 향후 웹툰 산업 관련 연구소나 연구센터 설립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했다. 서 회장은 “문화예술계는 급속한 성장을 거듭했음에도 관련 분석과 연구가 부족하다”며 “연구소에서 웹툰 산업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산업 동향과 트렌드 등을 파악하는 등 전문성을 키워나갈 경우 웹툰의 글로벌 진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며 산업 발전에 더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