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상업용 부동산 투자 22조…9년 만에 최대

입력 2025-02-20 14: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A급 오피스 수요·공급 동향(단위: 만㎡) (자료제공=CBRE코리아)
▲서울 A급 오피스 수요·공급 동향(단위: 만㎡) (자료제공=CBRE코리아)

지난해 서울 상업용 부동산 투자액이 9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오피스 투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20일 CBRE코리아는 '2024년 4분기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서울 투자금액이 22조 원으로 약 49% 증가했다고 밝혔다.

저금리로 투자가 활발했던 2021년(21조 원) 투자액을 웃도는 동시에 2015년 이후 가장 많은 금액이다.

오피스 거래(13조 원)가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이어 물류(5조 원), 호텔과 리테일(각각 2조 원) 순이다.

지난해 4분기 투자액은 5조2685억 원을 기록했다. 오피스는 4조3520억 원으로 83%를 차지했다.

NH농협리츠운용이 매입한 디타워 돈의문(8950억 원), 코람코자산신탁이 매수한 케이스퀘어 마곡(6910억 원), 코람코자산운용이 산 더익스체인지서울(2470억 원) 등이 주요 거래다.

4분기 오피스 공실률은 A급(연면적 3만3000㎡ 이상) 물건 기준으로 전 분기보다 0.3%포인트 하락한 2.4%를 기록했다. 무상 임대 등을 제외한 명목 임대료는 ㎡당 월평균 3만8119원으로 전 분기보다 1.9%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 서울 물류시장 거래 규모는 3747억 원으로 집계됐다. A급 핵심자산 거래가 전체의 71%를 차지했다. 주요 거래로는 김포 성광물류(840억 원), 로지포트 이천(760억 원) 등이 있다.

지난해 공급면적은 358만8552㎡로 전년보다 36% 감소했다. 대형 자산 공급이 줄면서 올해 공급량은 지난해의 3분의 1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최수혜 CBRE코리아 리서치 총괄은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두 차례의 금리 인하와 같은 긍정적인 요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정치적 이슈와 변화, 경기 하향 전망, 내수부진 리스크가 공존했지만, 대형 오피스 자산의 선매입 등 다수의 거래가 성공적으로 종결되면서 견고한 투자 규모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상업용부동산 시장의 견고한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매도자와 매수자 간 기대 가격 불균형과 자산의 성격에 따른 변동성이 관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075,000
    • +2.43%
    • 이더리움
    • 2,337,000
    • +1.65%
    • 비트코인 캐시
    • 489,200
    • +1.51%
    • 리플
    • 3,039
    • +2.01%
    • 솔라나
    • 200,300
    • -0.74%
    • 에이다
    • 922
    • +2.79%
    • 이오스
    • 937
    • +4%
    • 트론
    • 349
    • -1.13%
    • 스텔라루멘
    • 371
    • +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020
    • +2.41%
    • 체인링크
    • 19,320
    • +2.11%
    • 샌드박스
    • 405
    • +6.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