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개학을 앞두고 초등학교 주변 위해 요소를 점검한다.
교육부는 2025학년도 새 학기를 맞아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경찰청 등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교육(지원)청,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총 725개 기관과 민간단체가 참여해 초등학교 주변 위해 요소를 점검·단속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24일부터 다음 달 28일까지 전국 633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정부는 △교통안전 △유해환경 △식품안전 △제품안전 △불법광고물 5개 분야를 집중적으로 확인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학교 주변 공사장 안전 관리 여부를 살펴보고, 보행 공간 확보를 위한 불법 적치물을 단속할 계획이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 과속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띠 착용·보호자 동승 의무 등도 점검한다.
이와 함께 교육환경 보호 구역 주변 불건전 광고를 점검하고, 학교 주변 유해 업소의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 위반 행위 등도 집중적으로 단속한다.
식품 안전을 위해서는 방학 동안 사용하지 않은 급식 시설·기구의 위생 상태, 소비기한이 지난 제품의 사용·보관 여부 등을 살펴본다.
어린이가 자주 드나드는 문구점, 편의점 등에서 안전 인증을 받지 않은 불법 제품이 판매되고 있는지도 점검 대상이다.
아울러, 정부는 어린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현재 시행 중인 ‘아이먼저’ 캠페인도 확대한다.
아이먼저 캠페인은 횡단보도 일시 정지 등 어린이보호구역 내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습관화하기 위한 캠페인이다.
정부는 관계부처·지자체·공공기관 합동으로 2013년부터 매년 개학을 앞두고 초등학교 주변 위해요소를 점검하고 있다.
지난해는 보도 위 보행 위험요소 제거, 불법주정차 등 교통안전 위해요소 19만여 건, 불법광고물 5만 건, 청소년 유해 환경 1만 건 및 식품 및 위생관리 미비 8000여 건 등 총 25만여 건을 단속·정비했다.
전진석 교육부 교육자치협력안전국장은 “정부는 지자체와 민간단체, 지역주민 등과 함께 초등학교 주변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선제적으로 찾아내고 신속하게 개선해 어린이가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