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오롱그룹은 산업 현장의 안전에 최우선 가치를 두고 철저한 점검 및 관리를 하고 있다. 그룹은 올해 초 취임한 허성 코오롱인더스트리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안전에는 타협이 없다’라는 안전경영 철학의 전사적 공유와 ‘현장, 절차, 행동의 일치화’라는 추진 방향을 설정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대표 직속 ‘안전보건센터’를 안전경영 컨트롤 타워로 두고 있다. 안전보건센터는 △전사 안전보건경영 목표·지침 수립 △사업장별 안전문화 수준 평가 △본사·현장의 소통을 통한 현장밀착형 과제 발굴 등을 담당한다.
또 선진 안전문화 구축을 위해 허 대표는 전 직원 대상으로 안전 메시지를 발송하고 정기적으로 국내외 사업장을 방문해 안전 계획 및 생산설비를 점검하고 있다. 중대 재해를 예방하는 필수 항목으로 구성된 5대 안전 철칙(SGR) 제도를 개편해 안전 문화도 체질화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최고 수준의 안전기법인 ‘행동기반안전(BBS)’을 전사적으로 도입해 현장 중심 소통 기반의 안전문화 활동을 확대했다.
모든 사업장에 조직 내 안전보건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안전보건에 관한 요구사항을 충족한 기관에 부여되는 ‘ISO 45001’ 인증도 받아 운영 중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공정안전관리제도(PSM) 대상 7개 사업장 중 6개 사업장에서 최고 수준인 P 등급을 획득했다.
관련 뉴스
아울러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신·증설 프로젝트의 단계별 안전진단제도인 ‘공장가동승인제’를 비롯한 테마 진단과 불시 점검을 시행 중이다. 중대재해 위험이 큰 지게차는 속도제한, 안전벨트 주행연동 인터록 등을 설치한 ‘표준모델’을 선정해 모든 사업장에 적용했다. 올해는 스마트 안전기술 ‘지능형 접근경보시스템(IPAS) 2.0’을 도입해 지게차 안전을 강화할 예정이다.
코오롱ENP는 환경·안전·보건(ESH) 실행방침인 ‘ESH는 우리 모두의 일(ESH is everybody's business)’라는 슬로건 아래 적극적인 안전보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사업장 안전보건 관리를 위해 위험요소 발굴 및 개선 활동, 비상 대응훈련, 안전문화 시스템 운영, 안전보건 교육 등의 활동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