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쌍용자동차 회생을 위한 노사간 협상이 사실상 결렬됨에 따라 '최악의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다음달 법원 결정으로 회생계획이 중지되면서 파산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2일 지식경제부 당국자는 "쌍용차는 노사합의의 실패로 미래가 더욱 어두워졌다"면서 "정부는 일단 법원의 결정을 지켜본 뒤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다음달 15일로 예정된 관계인 집회에서 채권단이 70여일 간 계속된 파업의 여파로 청산가치가 생존가치보다 높아졌다고 판단하면 지난 2월6일 시작된 법정관리는 중단된다.
정부는 따라서 이번 합의 실패에 따른 대응책을 법원의 결정에 맞출 방침이다.
그러나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는 쌍용차 협력업체들을 구제하기 위한 지원책은 조속히 마련하겠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지경부 당국자는 "쌍용차 협력업체들이 세계 주요 자동차업체에 납품할 수 있도록 해외마케팅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국내의 다른 납품대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