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수자원 시작으로 2028년까지 완료 예정

동네 약수터 수질 정보나 홍수·가뭄 등 재난 등 물관리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정부 플랫폼이 마련됐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1일 각 산하기관에 흩어진 9개의 물관리 정보시스템 통합을 목적으로 구축한 국가 통합물관리 정보플랫폼 '물모아' 누리집(mulmoa.go.kr)을 이날부터 공개한다고 밝혔다.
'물모아'는 환경부 소속·산하기관별로 분산돼 있던 △수질 △수자원(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물정보포털) △하천 △상·하수도 △지하수 △재난(가뭄·홍수) 등 9개의 물관리 정보시스템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환경부는 올해 '물모아'를 1일부터 이용하도록 공개하고 국립환경과학원의 물환경정보시스템과 홍수통제소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의 정보 71종을 내년 상반기까지 제공할 계획이다.
관련 뉴스
기존 9개 물관리 정보시스템의 일부 기초정보 36종이 한곳에서 제공되면서 사용자는 본인 주변의 하천 수위, 유량, 수질 등 물환경 정보를 위치공간정보(GIS)에 기반해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형섭 환경부 물이용정책과장은 "일반 국민이 가는 약수터나 수영장 수질이 깨끗한지, 대장균이 검출됐는지 알 수 있고 녹조 현황이나 홍수·가뭄 관련 정보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하천 주변, 수변 구역 산책로 관련 정보도 제공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2028년까지 나머지 7개의 물관리 정보시스템도 '물모아' 누리집에 통합해 최소 278종 이상의 물관리 정보를 연계한 스마트 상황판(대시보드)을 이용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기존에 제공하던 정보시스템을 폐지하거나 중복된 정보의 기능도 조정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물모아'의 물관리 정보를 선별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적응정보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국가 기후위기 적응정보 통합플랫폼'을 2028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이 플랫폼은 △물 △농업 △산림 △생태 △해양·수산 등 부문별 기후위기 적응 정보를 한 곳에 모아 모든 국민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일괄 제공하는 것이다.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이번 통합 물정보 제공을 시작으로 국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각종 환경분야 정보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공무원, 전문가 등도 효율적으로 정책을 결정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시스템 완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