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머니]“현금보유도 투자…경제정책 주시”

입력 2010-03-02 09: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손민보 신한Private Bank 도곡센터 팀장

“불확실할 때는‘현금보유도 투자’라는 격언을 새기고, 새로운 흐름이 굵은 물줄기를 잡을 때까지 안정성과 기동성을 앞세워 투자를 해야 한다”

최근 신문에 은행 정기예금에 수조원의 자금이 몰려들고 있다고 한다. 정기예금 금리가 얼마나 매력 있기에 사람들이 은행으로 모여들고 있는 것일까? 그러나 실망스럽게도 실제 은행창구에 금리를 문의해보면 5% 이하의 금리수준에 머무르고 있고 예금에 가입하는 고객 또한 금리에 썩 만족해하는 표정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 뭉칫돈이 정기예금으로 이동하는 것은 금리 보다는 안전하게 현금보관의 의미가 짙어 보인다. 한마디로 어디에투자해야 할지 몰라 일단 기다려보자는 뜻으로 해석이 된다.

벌써 수개월째 시중 자금이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방황하고 있다. 시장의 돈이 방향을 못 잡는 이유는 시장의 불확실성에서 비롯된다. 2009년은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에 대한 강력한 의지로 경제 붕괴를 막아낸 한 해였다. 붕괴에 대한 공포로 부터 벗어나 한숨돌린돈들이 이전의 평균 상태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주가와 부동산, 실물자산가격이상승시켰다.

문제 정상화의 궤도에 들어서자 각국 정부가 정책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돈을 푸는 것보다 돈을 거둬들일 방법을 고민하기 시작한 것이다. 때문에 올해는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약 2년 만에 경제 정책의 큰 방향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2년 동안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경제환경이 가져올 변화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있다.

정부의 재정효과가 정부의 바람대로 민간의 자생적인 경제 활동으로 옮겨 가준다면 정부가 본격적인 출구전략을 시작할 것이며, 이 시점이 모든 자산가격의 가격 급등 락이 시작되는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경기의 회복이 계속 지연되고 부양책과 출구전략이 애매하게 혼재되는 상황이 계속 이어진다면 현재와 같은 눈치 보기 장세가 계속이어질가능성도있다.

불확실할 때는‘현금보유도 투자’라는 격언을 새기고, 새로운 흐름이 굵은 물줄기를 잡을 때까지 안정성 과 기동성을 우선 고려한 투자를하는것을권하고싶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상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3.00% 결정…15년9개월 만에 연속 인하
  • '핵심 두뇌' 美·中으로…한국엔 인재가 없다 [韓 ICT, 진짜 위기다下]
  • '급전' 카드빚도 못갚는 서민들…연체율 9개월째 3%대
  • 교통비 또 오른다?…빠듯한 주머니 채울 절약 팁 정리 [경제한줌]
  • "숨쉬기도 힘들다"…수인분당선 양방향 열차 일부 지연에 '혼잡'
  • "비트코인 살 걸, 운동할 걸"…올해 가장 많이 한 후회는 [데이터클립]
  • 위기론에 조기쇄신 꺼내든 신동빈…대거 물갈이 예고
  • 신생아 특례대출, ‘연소득 2억’ 맞벌이 부부까지 확대… “결혼 페널티 해소”
  • 오늘의 상승종목

  • 11.28 10:5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598,000
    • +3.51%
    • 이더리움
    • 5,045,000
    • +8.4%
    • 비트코인 캐시
    • 726,000
    • +5.52%
    • 리플
    • 2,045
    • +4.93%
    • 솔라나
    • 338,100
    • +4.58%
    • 에이다
    • 1,419
    • +7.09%
    • 이오스
    • 1,144
    • +3.72%
    • 트론
    • 281
    • +2.93%
    • 스텔라루멘
    • 683
    • +12.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950
    • +7.44%
    • 체인링크
    • 25,660
    • +6.56%
    • 샌드박스
    • 843
    • +1.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