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공매도 금지역풍에 뉴욕증시 이틀째 휘청

입력 2010-05-20 06:25 수정 2010-05-20 08: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다우 0.63%↓, 나스닥 0.82%↓, S&P 0.51%↓

뉴욕 증시는 19일(현지시간) 독일의 공매도 금지 조치로 유럽 재정위기 우려가 지속되면서 하락세를 나타냈다.

미국의 모기지 주택 압류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도 투자심리를 저하시켰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66.58포인트(0.63%) 하락한 1만444.37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8.89포인트(0.82%) 내린 2298.37을 기록했고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1115.05로 5.75포인트(0.51%) 내렸다.

독일정부는 전일 유럽지역의 국채와 이들 국채에 대한 신용부도스왑(CDS) 공매도를 일시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독일은 알리안츠, 도이체 방크 및 코메르츠 방크 등 10개 주요은행 및 보험사 주식에 대한 공매도도 금지하기로 했다.

독일정부의 조치는 시장에서 유럽 금융시스템의 혼란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로 받아들여져 금융시장이 위축됐다.

미 모기지은행협회(MBA)가 이날 주택 압류비율이 지난 1분기에 4.63%로 전분기의 4.58%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한 것도 악재로 작용했다.

모기지 체납률도 10.06%를 기록해 전분기의 9.47%를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하락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경제성장률 전망 상향조정 호재도 상승반전을 이끌어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미 노동부는 4월 CPI가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고 발표해 전문가들의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CPI가 하락한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으로 미 경제가 인플레이션 압력 없이 경기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한편 연준은 이날 공개한 지난 4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이 3.2~3.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해 1월 전망치인 2.8~3.5%에서 상향 조정했다.

업종별로는 유로화 가치 하락으로 다국적 기업들이 환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보잉 등 대형 제조업체들이 하락세를 보였다.

보잉이 2.23%, 세계 최대 중장비 제조업체 캐터필러가 2.76% 각각 급락했다.

전 세계 20개국에 약 280개의 소매매장을 보유한 아메리칸 어패럴은 2순위 채권자들과 맺었던 대출계약조건을 따르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 40.51% 폭락했다.

미 10대들에게 인기가 높은 의류소매업체인 애버크롬비&피치는 골드만삭스가 2010~2012년 주당 순이익 전망을 하향조정하면서 2.89% 급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54,000
    • -1.61%
    • 이더리움
    • 4,750,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521,500
    • -2.25%
    • 리플
    • 657
    • -1.79%
    • 솔라나
    • 191,300
    • -1.49%
    • 에이다
    • 534
    • -3.09%
    • 이오스
    • 798
    • -1.85%
    • 트론
    • 174
    • +0%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500
    • -3.23%
    • 체인링크
    • 19,220
    • -4.24%
    • 샌드박스
    • 464
    • -2.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