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달러 페그제를 폐지하고 관리변동환율제로 복귀하겠다고 발표한 이후에도 위안화 절상 논란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달러 페그제 폐지 발표 이후 위안화가 달러에 대해 불과 0.39% 절상되고 중국 인민은행이 환율의 급격한 변동은 없다고 거듭 밝히면서 위안화 절상 논란이 다시 커지고 있다고 2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G20 각국 정부는 중국의 환율 유연성 확대 발표로 위안화가 점진적으로 절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려는 의회의 압력이 점점 더 커지는 미국뿐 아니라 브라질, 러시아 및 아시아 각국 등 개발도상국도 중국의 발표에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이들 개발도상국은 중국 수입제품이 급증하고 자국 통화의 가치 상승으로 수출경쟁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과도한 환율 개입을 해야 하는 부담을 안아왔다.
중국의 지난달 브라질 및 러시아 지역 수출증가율은 전년 동월 대비 무려 110.92%였고 아시아 각국으로 수출은 48% 증가했다.
그러나 인민은행의 환율 유연성 확대가 위안화 절상뿐 아니라 절하도 의미한다는 주장도 커져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중 상무부의 메이신위 연구원은 “위안화가 단지 2~3% 절상돼도 노동집약산업 중심인 중국 경제에 치명타를 입힌다”면서도 “환율 유연성 확대는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유로화 하락에 중국 수출업자들이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득”이라고 지적했다.
메이신위 연구원의 발언은 위안화가 절상되기를 바라는 외국 정부의 기대와 달리 중국은 유로화 하락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환율 유연성 확대를 보고 있어 논란이 일 수 있다고 FT는 전했다.
인민은행의 발표는 당초 G20 정상회의에서 위안화 문제가 집중적으로 토론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뤄진 것이지만 모호한 발표로 인해 G20 회의에서 위안화가 집중적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