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은 국내 산업계, 특히 대기업들에게는 유난히 무더웠다.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고위관료들이 연달아 ‘상생협려’을 내세운 대기업 압박을 위한 발언이 이어지면서 협력업체들과의 상생협력방안 강화를 강조했다.
이같은 정부의 압박에 LG그룹, 삼성전자, 포스코 등 주요 대기업들은 잇따라 상생협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아직 상생강화방안을 수립하지 못하고 계속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그룹과 대기업들이 더 많은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어느덧 9월을 맞이하고 있다. 9월은 하반기 공채가 시작되는 달로 국내 산업계는 상생협력강화에 이어 고용창출까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것,
특히 일자리 창출은 반환점을 돌고 후반기를 맞이한 MB정부 최대 현안이자 역점 정책이다. 정부가 가장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정책에 재계, 특히 대기업들이 ‘나 몰라라’하고만 있을 수는 없는 게 현실이다.
삼성그룹은 지난 26일 당초 계획보다 500명 늘어난 4500명의 신입사원을 하반기에 채용한다고 밝혔다. 한화그룹과 SK그룹도 하반기 채용인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내 대기업의 한 고위 임원은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하다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국내기업들도 인지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자발적으로 책임을 다하는 환경조성이 아닌무언의 압력을 통한 책임수행이 의미가 있나 싶다”고 토로했다.
정부 고위 관료들이 대기업들에게 특정 내용을 주문하면서 여론의 질타를 받으면 늘 하는 변명은 “강제하지 않는다. 시장원리에 맡기겠다”라는 말이다.
하지만 정작 책임은 강조하면서 그에 준하는 혜택을 주거나 환경조성을 하고 있는지 정책 입안자들은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필요가 있다.
기업은 기업일 뿐이다. 기업의 제1가치가 이윤창출이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으며 동서고금의 진리이다.
이윤창출과정에서 기업인들 스스로가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지 못하고 있는 정부의 역할이 아쉬운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