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사(史)와 금융사를 이야기 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IMF 구제금융 사건입니다. 세계 11위의 무역대국으로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릴 만큼 전 세계를 놀라게 하며 1990년대 최고 전성기를 달리고 있던 한국경제가 어두운 터널 속으로 들어가게 된 순간이기도 합니다.
또 극복과정에서 국제통화기금에서 요구하는 조건들을 수행해야 했으며 많은 회사들의 부도 및 경영 위기를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대량 해고와 경기 악화로 인해 우리나라 온 국민이 큰 어려움을 겪은 시기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가 당시 IMF 구제금융을 요청했던 원인은 크게 대외적 원인과 대내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대외적 원인은 외환보유고의 관리 실패를 들 수 있습니다. 1990년대 중후반 동남아시아의 연쇄적 외환위기는 한국에도 큰 치명타를 줍니다. 동남아시아의 외환위기는 외국기업의 투자자금 회수를 가져왔습니다.
기업에 대출을 중단하고 만기 연장을 거부했습니다. 이렇게 해외로 달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면서 결국엔 주가 폭락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외환시장의 불안정 속에 정부는 인위적으로 환율 방어에 나선 것입니다. 하지만 마치 기업의 부도와 마찬가지로 외환보유고가 급감해 외환지급 불능사태를 초래하고 말았습니다.
이로 인해 국가신용도가 하향 조정되었고 원화가치의 환율이 급격히 하락하는 등 연쇄적으로 국제적 경제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됩니다.
대내적 원인은 바로 국내 금융기관의 부실에 있습니다. 1996년까지 총 24개의 투자금융회사가 종합금융회사로 전환합니다. 이들 회사들은 외채를 끌어와서 어음교환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러던 와중에 고비용, 저효율의 몸집 키우기에 급급하던 대기업들이 연쇄 부도를 일으키게 되자 외채를 끌어서 어음 할인한 이들 종금사들이 영향을 받게 됩니다. 특히 한보와 기아의 12조원 가량의 대형 부도사태는 위기를 결정적으로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결국 대한민국은 1997년 12월3일 경제국치인 IMF구제금융을 신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