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여신심사 강화로 자금줄 옥죄기 돌입
은행들이 대기업의 계열사 ‘꼬리자르기’가 잇따르자 여신 심사를 강화로 모럴해저드 대기업에 대해 자금줄을 옥죄며 강력 대응하고 있다. 대기업이란 이유로 대출을 쉽게 받았던 과거의 관행이 사라지고 도덕적 해이 기업에 대해서는 대기업이라도 깐깐한 여신 심사를 거치는 새로운 모델이 자리잡은 것이다.
6일 은행권에 따르면 효성그룹, 한솔그룹 등 대기업의 계열사들에 대한 신규대출 심사가 강화됐다. 한솔그룹 계열사들에 대한 신규대출은 전면 중단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2월 한솔그룹이 한솔건설을 법정관리 신청한 데 따른 것이다.
효성 역시 워크아웃 중인 계열사 진흥기업의 대주주 지위를 채권단에 넘길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은행권 고위 관계자는 “모회사가 계열사들을 책임지지 않는 사례가 나오면서 최근 은행들이 대기업들에 대한 여신 심사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건설사의 경우는 대기업이여도 대출 자체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은행권의 변화는 LIG그룹이 LIG건설을 법정 관리 신청하면서 절정을 이뤘다. 시중은행장들은 가만 있을 수 없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만기 대출 회수와 신규 대출 중단에 나선 것이다.
시중은행 여신담당자는 “대기업 여신 심사에 기존보다 두 배 이상의 시간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지방은행의 경우는 대기업과의 거래를 사실상 포기했다. 대기업이 제출한 재무제표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시중은행에 비해 정보력도 부족해 위기 감지도 늦을 수 있다.
자칫 국제통화기금(IMF)때 기아, 현대 등의 위기로 경남은행 등이 무너진 전처를 따를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형성되고 있다. 전북은행이 최근 LIG건설에 대출을 한 것도 자체 정보력보다는 신한은행이 대출을 해준 점을 신뢰했다는 전언이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대기업일수록 자금 규모가 커서 부실이 발생할 경우 은행 자체가 기로에 설 수 있다”며 “대기업과 더욱 거래를 하지 않게 되는 역설적인 상황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