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전산장애 대책에 잦은 말바꾸기를 하는 농협에 대한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과거 해킹 사실과 원장 훼손, 노트북 반출입 여부, 최고 접근 권한을 가진 사람 등 끝도 없는 말 뒤바꾸기에 농협의 신뢰도는 땅에 내려앉았다.
21일 농협에 따르면 지난 2008년에도 고객 정보가 홈페이지에 노출되는 해킹을 당했다. 민원인의 상담 정보가 고스란히 드러났지만 농협은 당시 수사기관에 알리지 않았다.
500만원 가량의 돈을 해커에 건네며 사건을 은폐했다. 이재관 농협 전무 이사는 20일 국회에서 “일종의 사고 수준”이라고 해명해 질타를 받았다. 제1금융권의 전산망이 뚫린 사실을 사고라고 평가절하한 것이다.
고객 정보가 담긴 원장 훼손 사실도 숨겨왔다. 농협은 당초 “고객 정보 유출 및 훼손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수사기관에 의해 카드 거래 기록이 일부 지워진 사실이 밝혀지자 “임시 저장소가 지워졌고 이를 복구 중”이라고 말을 바꿨다. 사건 축소에만 급급했던 셈이다.
‘모든 파일 삭제’ 명령을 내린 협력업체 직원 노트북 사용 권한에 대해서도 농협은 오락가락했다. 이재관 전무 이사는 지난 19일 “노트북은 보안 소프트웨어를 깔아 두세 종류의 암호를 입력해야 사용할 수 있다”며 “권한이 없는 사람의 사용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농협 수사를 진행 중인 검찰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전산시스템 계정 비밀번호는 7년째 ‘0000’이었다. 원천적으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었다는 뜻이다.
또한 농협과 협력업체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파일 삭제 등 최고 수준의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농협 양재 전산센터의 시스템작업실에 드나들 수 있었던 인원은 100여명에 달했다. 김유경 농협 정보기술(IT) 본부분사 팀장이 지난 19일 “농협 직원 50여명, 협력업체 직원 20여명 등 모두 70명”이라고 설명한 것과 배치된다.
최고 접근 권한을 가진 사람에 대해서도 농협은 거짓말 투성이다. 지난 14일 대국민 사과 때 정종순 IT본부분사장은 “이 같은 권한을 가진 사람이 한명도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20일 국회에서는 “3명뿐이다”고 말을 번복했다. 최고 접근 권한을 지닌 인원은 농협 직원 3명, 협력업체 직원 3명 등 모두 6명이다.